학술논문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연구
이용수 86
- 영문명
- A Study of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n Art Therapy Liberal Arts Course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고정윤 박은선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2호, 5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들의 미술치료 수업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그 특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의 절차에 따라 미술치료 수업 관련 문헌 연구, 설문 자료, 심층 면담의 결과를 바탕으로 Q모집단을 구성하였고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34개의 Q표본을 추출하였다. 목적 표집을 통해 미술치료 교양과목를 수강한 51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표본의 중요도에 따라 배열(sorting)하게 한 후 PC QUNAL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술치료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은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정서치유 성장형’으로 미술치료 수업에서의 자신을 표현하고 다른 학생들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며 편안한 감정을 경험한 유형이다. 제2유형은 ‘내면탐구 성장형’으로 미술치료 수업에서 작업에 집중하여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알지 못했던 자신의 감정을 발견한 유형이다. 제3유형은 ‘상호교류 성장형’으로 미술치료 작업 후 자신의 경험을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며 즐거움을 발견한 유형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술치료 교양과목의 수업 설계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 liberal arts course in art therapy and to explore their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Q sample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e Q methodology, and 34 Q samples were extracted through expert review. Through purposive sampling, 51 people were selected as P samples, sor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Q samples, and analyzed using PC QUNAL Program. As a result,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art therapy class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emotional healing growth type', which is a type that expresses themselves in art therapy classes, interacts positively with other students, and experiences comfortable feelings. The second type was the 'inner exploration growth type' who focused on the task in the art therapy class, explored their inner world and discovered their unrecognized feelings. The third type is the 'interaction growth type' who found pleasure in sharing their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after art therapy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resource for designing classes in art therapy liberal arts cour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노래 심리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우울과 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연구
-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자기자비에 기반한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치료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양육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를 통한 청소년의 정서·행동 과잉통제 유무에 따른 반응특성 비교
- 유방암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