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교육을 받은 중학생은 더 포용적일까?: 서울시학생의 문화 포용성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308
- 영문명
- Ar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More Inclusive?: Seoul students' cultural inclusiveness and influencing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희진 이규빈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2호, 91~12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level of cultural inclusiveness for students in Seoul and gaug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atus quo of cultural inclusiv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group, and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examined afterward. The study used 5 ,858 students' data from the fl!St to third grades of middle school. Cross-analysis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n attempt was made to verify how students' personal and school background relate to cultural inclusiveness and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consistently scored a higher level of cultural inclusiveness than male students for all four dependent variables for cultural inclusiveness at the individual level even while controlliog other variables . Secondly, it was analyzed that students' who have foreigners nearby positively correlates with all dependent variables. At the school level, fl!St of all, schools with multicultural policies showed lower scores in the relationality score than non-policy schools. Lastly, the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dependent variables, and most of them show a substantially high beta sc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to promote student cultural inclusiveness were reaffirmed.
영문 초록
목차
I.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교육연구』 를 중심으로-
- 북한배경 초등학생의 학교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중등교사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교육역 량의 관계: 인권의식과 다문화 수용성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에서의 이중언어 멘토 배치와 외국인 영유아의 적응에 대한 사례연구
- 직장 내 성소수자가 경험하는 미묘한 차별 측청 척도 타당화 연구
- 국내 다문화교육정책 관련 연구물들에 관한 비판적 연구: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 다문화교육을 받은 중학생은 더 포용적일까?: 서울시학생의 문화 포용성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 중국과 미국 대학의 소수자우대성 입학정책 비교 연구
- 악기박물관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 초급한국어 유학생의 음성적 민감성과 한국어 조음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