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장 내 성소수자가 경험하는 미묘한 차별 측청 척도 타당화 연구
이용수 175
- 영문명
- Validation Study of LGBT-Microaggress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선 윤효정 배일현 신윤정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2호, 57~9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aed to identify the discrimination that gender and sexual minorities may experience in the workplace by validaring the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Microaggression Experience at Work &ale (LGBT-MEWS). To achieve this, after obtaining permission from the original authors, the scale was translated and back-translated through experts, followed by an online survey. Based on the responses of 292 participants, inappropriate items were excluded through initial item analysis, and then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tems was confirmed and validity was established through patallel analysis and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urthermore,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were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other scales, and incremental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nitially, one factor item related to 'value in the workplace' that did not meet the assumption of normality was removed from the original scale through basic item analysis. The struaure consisting of two subfactors, namely heterosexism and cisgender-centric culture, with 12 items, was found to be appropriate. The convergent validity of K-LGBT-MEW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workplace wang-rta scale scores. Moreover,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job satisfaction, sense of belonging, and depression, which were reported as criterion variables. Finall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K-LGBT-MEWS demonstrated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for job satisfaction beyond basic working conditions and sense of belonging.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impact of microaggressions on the mental health,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for sexual and gender minorities. This can serve as a basi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within companies and career educational content for universirv-workplace transition students with minority identiti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교육연구』 를 중심으로-
- 북한배경 초등학생의 학교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중등교사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교육역 량의 관계: 인권의식과 다문화 수용성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에서의 이중언어 멘토 배치와 외국인 영유아의 적응에 대한 사례연구
- 직장 내 성소수자가 경험하는 미묘한 차별 측청 척도 타당화 연구
- 국내 다문화교육정책 관련 연구물들에 관한 비판적 연구: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 다문화교육을 받은 중학생은 더 포용적일까?: 서울시학생의 문화 포용성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 중국과 미국 대학의 소수자우대성 입학정책 비교 연구
- 악기박물관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 초급한국어 유학생의 음성적 민감성과 한국어 조음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