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역축제 안전성 강화 방안
이용수 137
- 영문명
- Enhancing Local Festival Safety Through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박정섭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79호, 175~19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195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지역축제 및 대규모 행사에서 다양한 사건⋅사고가 발생해 왔다. 정부는 이를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법 제도적 보완 및 안전관리 대책을 강화해 왔으나, 행사 주최 측의 안전 인식 부족, 시민들의 안전불감증, 그리고 혁신 기술 도입의 부재로 인해 인력에 의존한 안전관리 체계의 한계가 여전히 존재한다. 2022년 이태원 참사 이후 행정안전부는 관련 법을 개정하고, ‘인파관리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지만, 2023년에 개최된 서울 세계 불꽃축제, 함안 낙화놀이 등의 다수의 행사에서 여전히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대혼란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적용 사례를 살펴보며, 선행연구 및 기존 안전관리 실태와 사고 사례를 면밀히 검토ㆍ분석하여 문제점과 그 한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험 요인 분석과 인공지능 기반의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해 지역축제의 안전성을 강화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축제의 안전대책을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기술적 접근 방식으로 탐구하며, 보다 안전하고 성공적인 축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ince the late 1950s, South Korea has experienced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at local festivals and large-scale events. Despite governmental efforts to strengthen legal and institutional safety measures, challenges persist due to a lack of safety awareness among event organizers, public complacency, and the absen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These issues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manpower-dependent safety management systems. In response to the Itaewon tragedy in 2022,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vised relevant laws and introduced crowd management systems. Nevertheless, safety incidents and chaos continued at events like the Seoul World Fireworks Festival and Haman Nakhwa Nori Festival in 202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rends and application cases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while thoroughly reviewing and analyzing previous research, current safety management practices, and accident cases to identify problems and limitation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e study proposes enhancing the safety of local festivals through risk factor analysis utilizing big data and the development of an AI-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explore practical and concrete technical approaches to safety measures for local festival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safer and more successful festival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
Ⅲ. 지역축제의 안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Ⅳ. 지역축제의 안전성 강화 방안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득분배와 범죄발생 간의 관계
- 카지노 보안요원의 보안성과 제고에 관한 연구
- 민간협력적 관점에서 국가테러대응 체계 연구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역축제 안전성 강화 방안
- 국가중요시설 고출력 전자파 위협 대비 물리보안 대응역량 강화방안: 비핵 EMP 대응체계 강화를 중심으로
- 물리보안 기반 안전진단 및 위험 평가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산업보안을 위한 조직의 수단적 지원과 산업보안정책 준수의지 간의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 경찰공무원의 데이터 리터러시와 직무역량간 관계 연구
- The Influence of Visibility of Police on Crime in England and Wales: Focusing on the Austerity Measures
- 공공기관 드론의 활용 실태 및 향후 발전 방향
- 민간경비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교육 입법정책의 연혁에 따른 비판적 고찰: 일반경비원 신임교육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