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간경비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74
- 영문명
- A Study on Action Plan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노우영 이상열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79호, 131~14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민간경비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정책 제언을 위한 목적을 위해 각종 서적과 논문 등 선행연구를 비롯하여 경찰백서, 경찰통계년보 등 경찰청 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민간경비산업은 소위 ‘굴뚝없는 공장’으로 불리울 정도로 관광산업과 더불어 각광받고 있는 산업 가운데 하나이다. 이처럼 민간경비업이 발전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도 다양한 문제점과 장애요인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선행연구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민간경비업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채용에 있어서 적합한 채용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훈련을 통한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 셋째, 경찰과 민간경비와의 협력증진의 강화이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보수 현실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민간경비 업무영역의 확대가 필요하다. 여섯째, 민간경비원의 근무환경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For the purpose of making policy suggestions for activate private security, this study referred to prior studies such as various books and papers, as well as National Police Agency data such as police white papers and subscription police statistics.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is one of the industries that is in the spotlight along with the tourism industry, so much so that it is called a “factory without a chimney.” In this way,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prior research that various problems and obstacles still exist in order for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to develop and become active. This study seeks to make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to activate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First, Appropriate hiring standards for private security guards must be establish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expertise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Third,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must be strengthened. Fourth,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alaries of private security guards more realistic. Fifth, the scope of private security work needs to be expanded. Sixth, the working environ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s must take preced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민간경비업체의 현황 분석
Ⅳ. 민간경비업의 활성화 방안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득분배와 범죄발생 간의 관계
- 카지노 보안요원의 보안성과 제고에 관한 연구
- 민간협력적 관점에서 국가테러대응 체계 연구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역축제 안전성 강화 방안
- 국가중요시설 고출력 전자파 위협 대비 물리보안 대응역량 강화방안: 비핵 EMP 대응체계 강화를 중심으로
- 물리보안 기반 안전진단 및 위험 평가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산업보안을 위한 조직의 수단적 지원과 산업보안정책 준수의지 간의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 경찰공무원의 데이터 리터러시와 직무역량간 관계 연구
- The Influence of Visibility of Police on Crime in England and Wales: Focusing on the Austerity Measures
- 공공기관 드론의 활용 실태 및 향후 발전 방향
- 민간경비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교육 입법정책의 연혁에 따른 비판적 고찰: 일반경비원 신임교육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