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희 중화신설의 도덕교육적 의의
이용수 205
- 영문명
- The Moral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Zhu Xi’s ZhongHeXinShuo(中和新說)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허진웅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6권 제2호, 91~11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주희 중화신설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것에 있다. 주희의 심성론은 중화구설에서 중화신설로 전환되면서 심 중심의 새로운 심성체계를 구축한다. 본 연구는 이로 인해 발생한 주희 심성론의 변화된 내용 요소와 그에 따른 도덕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먼저, 심이 성정을 통괄함에 따라서, 미발 시에도 심의 주재력이 발휘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에 따라 도덕교육은 학습자가 내면의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심의 기능인 지각 개념을 적용하여, 심의 활동 범위가 미발과 이발 시 모두로 넓혀졌음을 밝혔다. 항상 깨어있는 지각의 역할이 중요해진 만큼 도덕교육은 지각의 분별력을 향상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미는 주희의 중화신설이 심성 함양 교육과 도덕적 지식교육의 철학적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Zhu Xi’s ZhongHeXinShuo(中和新說). Zhu Xi’s Xin-Xing-Lun(心性論) changes from ZhongHeJiuShuo(中和舊說) to ZhongHeXinShuo(中和新說), establishing a new mind-centered system. This study discussed the changed content elements of Zhu Xi’s Xin-Xing-Lun(心性論) and the resulting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t was revealed that as Xin(心) controls Xìng (性) and Qíng(情), the predominant power of Xin can be exerted even during wèifā(未發). Accordingly, moral education should be structured in a way that helps learners cultivate their inner morality.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oncept of zhijue(知覺), which is the function of Xin, it was revealed that the scope of activity of Xin was expanded to both in weifa(未發) and yifa(已 發). As the role of always-aware zhijue has become important, moral education should be structured in a way that can improve perceptual discernment.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Zhu Xi’s ZhongHeXinShuo can serve as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and moral knowledg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중화구설에서 중화신설로의 전환
Ⅲ. 중화신설로의 전환에 따른 도덕교육적 시사점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