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칸트의 덕 개념과 도덕교육

이용수 2

영문명
Kant’s Concept of Virtue and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김상섭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6권 제2호, 21~4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칸트의 철학에 입각한 도덕교육에 대한 논의는 대체로 도덕성 및 선의지의 각성과 계몽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그럴 때는 자유를 발휘하도록 강제한다는 어려운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하지만 칸트의 도덕철학은 선의지와 의무의식 외에도 또한 덕의 활용과 덕성의 함양과 관련된 논의를 외면하지 않는다. 이 지점에 주목하여 칸트의 덕 개념에 기반을 두고 도덕철학 및 도덕교육론은 전개하게 된다면, 다소 다른 의미의 교육실천 및 교육학적 논의의 가능성이 전개될 수 있을 것 같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칸트의 「도덕형이상학」에서 논의하는 덕 개념에 주목함으로써 의무윤리에 바탕을 두면서도 보다 실천적이고 실제적인 도덕교육의 모습을 모색하고자 한다. 칸트에 있어서 덕은 구체적인 저항에 맞서 선의지의 힘과 역량을 경험적으로 강화한 결과로 습득된다. 따라서 덕의 습득에 주목하는 도덕교육은 선의지의 자각과 계몽으로서의 교육과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Discussions about moral education based on Kant’s philosophy generally seem to revolve around the awakening and enlightenment of morality and good will. In such cases, educators face the difficult problem of coercion to exercise freedom. However, Kant’s moral philosophy does not ignore discussions related to the use of virtue and its cultivation, in addition to good will and sense of duty. If discussions about moral education are developed more based on Kant’s concept of virtue than on Kant’s one of morality, new concepts of educational practices may be developed. With this critical awareness in mind, the author seeks to find a more practical and realistic form of moral education that is based on duty ethics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cept of virtue discussed in Kant’s Metaphysics of Morals. For Kant, virtue is acquired as a result of empirically strengthening the power and capacity of good will in response to specific resistance. Therefore, virtue progresses to the self-domination of practical reason, which governs and dominates passions through respect for the law. In this respect, moral education, which is the acquisition of virtue, is more than awareness and enlightenment of good will. This is because virtue includes not only the ‘autonomy’ of practical reason, but also the moral strength of ‘self-dominance’ of practical reason.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virtue goes beyond good will. It just adds a human and personal realization(achievement) of good will. A virtuous person is the result of education as training and practice.

목차

Ⅰ. 들어가기. 칸트의 의무윤리학과 도덕교육문제
Ⅱ. 칸트의 덕 개념
Ⅲ. 「도덕형이상학」 고유의 덕 개념
Ⅳ. 칸트의 덕 개념에 비추어본 덕성교육
Ⅴ. 마무리: 덕교육의 방법으로서의 계몽과 훈련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섭. (2024).칸트의 덕 개념과 도덕교육. 도덕교육연구, 36 (2), 21-42

MLA

김상섭. "칸트의 덕 개념과 도덕교육." 도덕교육연구, 36.2(2024): 2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