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칸트 선험적 인식론에 대한 듀이의 비판 일고찰

이용수 2

영문명
An Essay on Dewey’s Criticism of Kant’s Transcendental Epistemology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노철현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6권 제2호, 43~7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칸트의 이른바 선험적 인식론은 인식을 외적 관련을 맺는 인식주체와 그 대상의 종합으로, 물자체와 현상의 종합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원론적 사고를 표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듀이에 의하면, 이러한 인식론적 이원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 이성을 유기체적 개념으로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되며, 인식주체와 그 대상은 유기체와 불가분리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 이해하지 않으며 안 된다. 듀이의 실험적 인식론은 이러한 이성의 개념에 입각하여 이성의 활동, 즉 ‘탐구’(사고, 반성)에 의하여 인식을 설명한다. 실험적 인식론에 의하면, 인식은 탐구 과정의 핵심 요소로서의 ‘개념’(가설)과 ‘사실’(결과) 사이의 기능적 관계에 성립하며, 이 경우에 인식의 타당성은, 칸트의 경우처럼 물자체라는 확실성의 토대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기능적 관계의 안정성에 의존한다. 그러나 듀이의 이러한 기능주의적 사고방식은 인식의 타당성을 올바르게 확립하는 데에 미흡한 점이 있다. 함린에 의하면, 인식의 타당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판단의 합의가 전제되지 않고서는 설명되지 않으며, 따라서 삶의 형식의 합의는 인식 또는 지식의 객관성과 진리성을 해명하는 데에 필수불가결한 조건에 해당한다. 함린의 논의에 비추어 볼 때, 칸트 인식론에서의 선험적 개념과 물자체는, 듀이의 비판과는 달리, 삶의 형식과 관련하여 재해석될 여지가 있다.

영문 초록

I. Kant’s transcendental epistemology is known to suppose dualistic thinking in that it attempted to explain knowledge as a synthesis of the subject and its object in an ‘external’ relationship, and as a synthesis of Thing-in-itself and phenomenon. According to J. Dewey, in order to overcome this epistemological dualism, we must understand our reason as an organic concept, and the subject and its object must be understood as parts inseparably connected to the organism. Dewey’s experimental theory of knowledge is based on this concept of reason and explains knowledge through the activity of reason, that is, ‘inquiry’ (thinking, reflection). According to Dewey’s theory, knowledge is established in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hypotheses) and ‘facts’(results) as key elements of the process of inquiry, and in this case the validity of knowledge is not depend on the foundation of certainty as Thing-in-itself but on the security of those functional relationships. However, Dewey’s functionalist way of thinking falls short in correctly establishing the validity of knowledge. According to D. W. Hamlyn, the validity of knowledge cannot be explained without agreement in judgment with other peoples, and therefore agreement in forms of life is an indispensable condition for elucidating the objectivity and truth of knowledge. In light of Hamlyn’s opinion, unlike Dewey’s criticism of Kant, the transcendental concepts and Thing-in-itself in Kant’s epistemology can be reinterpreted in relation to forms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선험적 인식론
Ⅲ. 철학의 방법
Ⅳ. 실험적 인식론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철현. (2024).칸트 선험적 인식론에 대한 듀이의 비판 일고찰. 도덕교육연구, 36 (2), 43-71

MLA

노철현. "칸트 선험적 인식론에 대한 듀이의 비판 일고찰." 도덕교육연구, 36.2(2024): 4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