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능력주의 사회, ‘계급 이행’과 교육 불일치: C. Jaquet의 ‘비-재생산’ 논의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The Meritocratic Society, ‘Transclass’ and Educational Mismatch: Focusing on C. Jaquet’s Discussion of ‘Non-Reproduc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조나영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2권 제4호, 63~8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능력주의 사회에서 교육은 능력 여하에 따라 계급을 재생산하거나 비-재생산하는 기제로 작동한다. 교육의 힘을 활용해 자신의 열악한 처지를 벗어난 이들은 소위 ‘신화적 존재’로 계급 재생산의 ‘예외’가 되고, 사람들은 이 예외적 ‘성공’ 사례에 몰두하며 점점 더 교육(학력・문화자본)에 의존하게 된다. 이로써 능력주의 교육은 교육만능, 교육과잉, 교육낭비를 조장하게 된다. 관건은 이 ‘예외’라는 사실이 계급을 이행한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 모두를 ‘불편’하게 한다는 사실이다. 전자에게는 자기희생을 후자에게는 자기혐오를 강요한다는 측면에서 그렇다. 능력주의는 학업 성취나 교육적 성과는 물론 계급 이행 여부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한다. 사회문화적 재생산을 논한 Bourdieu는 계급을 이행한 비-재생산의 예외 사례를 개인적인 차원으로 접근한다. 이런 Bourdieu의 논의를 보완하며 Chantal Jaquet는 계급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비-재생산 요인―야심, 모방, 사회경제적 조건, 감정, 자리와 환경―을 분석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Jaquet의 논의와 궤를 같이하면서 능력주의가 감추고 있는 바는 무엇이며, 교육이 왜 성공을 위한 유일한 동력이 아닌지를 확인함으로써 교육에서 강조할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통해 능력주의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재생산 및 비-재생산에 대한 경험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 a meritocratic society, education is a mechanism for reproducing classes based on an individual’s abilities. Those who use education to escape their disadvantaged circumstances become “mythical beings,” exceptions to class reproduction, and people increasingly focus on these exceptional cases of “success” and rely more on education (academic and cultural capital). Consequently, meritocratic education encourages educational omnipotence, excess, and waste. The key issue is that this notion of “exceptionality” discomforts those who have transitioned classes and those who have not, demanding self-sacrifice from the former and self-loathing from the latter. Meritocracy places responsibility on the individual concerning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outcomes, or the possibility of class transition. In discussing sociocultural reproduction, Bourdieu approaches these non-reproductive exceptions of class transition at the individual level. Complementing Bourdieu’s discussions, Chantal Jaquet analyzes factors enabling class transition: ambition, imitation, socioeconomic conditions, emotions, placement, and environment. This study aligns with Jaquet’s work, exploring what meritocracy conceals, why education is not the sole driver of success, and what should be emphasized in education. This approach seeks to expand the discourse on meritocracy and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empirical studies on reproduction and non-reproduction.

목차

I. 서론
Ⅱ. 능력주의와 사회・문화적 재생산의 기제
Ⅲ. ‘능력’ 재생산 사회의 ‘예외’적 차원들:『계급횡단자들 혹은 비-재생산』에 대한 이해
Ⅳ. 비-재생산의 상호성과 ‘관개체’적 활동으로서의 교육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나영. (2024).능력주의 사회, ‘계급 이행’과 교육 불일치: C. Jaquet의 ‘비-재생산’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2 (4), 63-88

MLA

조나영. "능력주의 사회, ‘계급 이행’과 교육 불일치: C. Jaquet의 ‘비-재생산’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2.4(2024): 6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