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사의 성인지 현황과 실천: 사회복지교육을 위한 함의
이용수 493
- 영문명
- Gender Sensitivity in Social Worker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저자명
- 박선영 양미연 김은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교육』제66집, 109~1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의 성인지 수준과 성인지 사회복지실천의 현황을 살펴보고 성인지가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회복지교육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성인지와 성인지 실천에 관한 온라인 질문지 조사를 하여 504명의 응답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평균차 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성인지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여성, 30대, 이용시설, 여성․가족 영역의 사회복지사 성인지의 세부 수준들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인지 사회복지실천의 수준 역시 양호하지만 남성, 50대 이상, 생활시설, 노인, 장애인 영역 사회복지사들이 노인과 아동, 장애인, 노숙인, 빈곤 한부모 등과의 성인지 실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것으로 가늠되었다. 나아가 사회복지사의 성인지 수준은 사회취약층 클라이언트와의 성인지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교육을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xtent of gender sensitivity among social workers and the current status of gender-sensitive social work practices in South Korea.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gender sensitivity on social work practice to draw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social workers, and data from 504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level of gender sensitivity was relatively high. Specifically, female social workers, those in their 30s, those working in non-residential facilities, and those working in the women and family sector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gender sensitivity. While the overall level of gender-sensitive social work practice was satisfactory, challenges were identified among male social workers, those over 50, and those work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as well as those working in sectors serving older adults an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se groups faced difficulties in practicing gender sensitivity with older adults, children, individuals with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people experiencing homelessness, and single parents living in poverty. Furthermore, results showed that gender sensitiv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gender-sensitive social work practice when working with socially vulnerable cli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education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