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60

영문명
The Influence of Korean Proficiency on School Adjustment among Immigrant Youth: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eer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저자명
유지희 황숙연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교육』제66집,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또래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2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64명의 데이터를 PROCESS Macro for SPSS 모델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한국어 능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또래지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능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도입국 자녀들의 한국어 능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또래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의한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입국 자녀들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적․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eer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in the influence of Korean proficiency on school adjustment among immigrant youth.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first year of the second period of the Youth Policy Institute’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ere used, and the final data of 164 youths was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Model 6.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Korean proficiency on school adjust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peer support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acculturative stress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eer support and acculturation stres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of immigrant you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clinical and policy measures aimed at improving the school adjustment of immigrant yout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희,황숙연. (2024).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 1-25

MLA

유지희,황숙연.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2024):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