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 창작을 통한 어머니의 자기성찰 경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이용수 3

영문명
A mother's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through picture book creation: narrative exploration method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이주경 서은희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1권 제3호, 681~70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이야기 치료이론을 토대로 한 자기 서사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프로그램 과정에서의 창작 경험과 함께 자기성찰이 어머니의 삶에 어떠한 경험과 의미를 주는가를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9살의 자녀를 키우고 있는 30~50대 어머니 3명이었다. 현장 텍스트는 2022 년 7월 28일에 시작하여 2022년 10월 28일까지 총 12회기에 걸친 인터뷰와 그림책 창작과정을 통해 참여자의 녹취, 자료, 작품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고려하여 어머니의 그림책 창작 경험과 자기성찰 경험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어머니의 그림책 창 작 경험은 <거울에 비추듯이>, <그림책 문법으로 이야기하기>, <그림으로 이야기한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 림책 창작을 통한 자기성찰은 <나만의 창>, <답은 내 안에있다>,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기>, <항해하기>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그림책 창작이 어머니가 되어 가는 연구참여자 자신을 탐색하고 성찰하는 도구로서 가치 와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self-narrative picture book creation program based on narrative therapy theory for mothers raising children, and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he creation process and self-reflection in the mothers' live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others in their 30s and 50s raising a 9-year-old child. The field texts were collected through a total of 12 interviews and a picture book creation process that began on July 28, 2022 and ended on October 28, 2022, and included participants' recordings, materials, and work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and was divided into the mother's picture book creation experience and self-reflection experience, considering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he mothers' experiences of creating picture books were interpreted as “reflecting in the mirror,” “talking with picture book grammar,” and “telling stories with pictures. Self-reflection through picture book creation was interpreted as , , , and . This study confirms that picture book creation has value and meaning as a tool for exploring and reflecting on the participants' own experiences of becoming mot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경,서은희. (2024).그림책 창작을 통한 어머니의 자기성찰 경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미술치료연구, 31 (3), 681-703

MLA

이주경,서은희. "그림책 창작을 통한 어머니의 자기성찰 경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미술치료연구, 31.3(2024): 681-7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