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의 개인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25

영문명
The Qualitativ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an Adolescent with Non-Suicidal Self-Injury(NSSI)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이승정 신형미 천세나 정여주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1권 제3호, 607~63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청소년이 개인 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 지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정신증적 특징이 있는 주요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청소년으로, 주 1회, 회기당 60분씩 총 20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자해 중지 유지 여부 점 검을 위해 미술치료 종료 1년 후 사후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초기 면접지, 종합 심리검사 보고서, 녹음파일, 미술작품, 회기별 평가 기록지, 연구 참여자가 제공한 과거 그림들로, 자료 분석은 Creswell(2017)의 질적 연구 자료 분석 방법 5단계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미술치료 경험은 ‘참 고 있는 고통’,‘내 마음을 드러냄’,‘생생하게 느껴지는 고통’,‘과거의 상처를 마주하고 위로함’,‘긍정적인 내 모습을 인식함’,‘내면 깊은 곳의 분노를 표출하고 해소함’,‘유연성과 대처 능력을 획득함’,‘일상의 생기를 찾은 성장한 내 모습’,‘새로운 미래로 나아감’이라는 9개의 경험이 도출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에게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부정적 정서의 표출 및 해소’, ‘자기 이해와 자기 수용’, ‘타인 이해와 타인 수용’, ‘긍정적인 자기 개념의 강화’ 라는 4개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an adolescent with Non-Suicidal Self-Injury(NSSI) experienced through personal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e participant was adolescent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Psychotic Features and participated in a total of 20 art therapy sessions,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To check the status of NSSI, a post-interview was conducted one year after the art therapy comple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arly interviews, Full Battery Assessments, recording files, artworks, evaluation records for each session, and artworks provided by the participant.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Creswell's 5 steps of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method(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 nine experiences were derived: ‘to endure pain,’ ‘to recognize the painful self,’ ‘to feel pain vividly,’ ‘to face and comfort the wounds of the past,’ ‘to recognize the positive self,’ ‘to express and resolve the anger of the deep place,’ ‘to acquire flexibility and coping skill,’ ‘to find the vitality of everyday life,’ ‘to move forward to a new future.’ Second,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derived four meanings: ‘expression and resolution of negative emotions,’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thers,’ ‘strengthening positive self-concep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정,신형미,천세나,정여주. (2024).비자살적 자해 청소년의 개인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31 (3), 607-631

MLA

이승정,신형미,천세나,정여주.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의 개인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31.3(2024): 607-6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