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데이터로 본 판소리의 性 인지 체계: 신재효本을 중심으로

이용수 26

영문명
A Study on the Sexual Cognitive System of Pansori through Data: Analyzing Shin Jae-hyo’s Works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신호림 이승은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72집, 37~7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신재효本 판소리 사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판소리에 나타난 性 인지 체계를 데이터를 통해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신재효본 <춘향가(남창)>, <심청가>, <박타령>, <토별가>, <적벽가>, <변강쇠가>에서 성적인 표현이 드러나는 대목을 추출하여 문장단위로 입력하고, 화자, 서술대상, 관련인물, 작품, 대목 등 메타정보를 함께 입력한 자료를 제시했다. 그리고 정량적 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text 컬럼에 입력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형태소 분석 및 전처리를 수행했다. 판소리 텍스트의 언어를 디지털 분석 도구에 적용하기 위해 사용자 사전에 새로운 정보 또는 불용값을 입력함으로써 분석 가능한 데이터로 만든 것이다. 신재효본 판소리 사설에서 추출한 데이터에 대해 세 가지 분석을 시도했다. 첫 번째는 기본적인 통계분석으로 성적인 표현이 가장 많이 등장한 작품은 무엇인지, 이때 성적 표현을 발화하고 그 대상이 되는 화자-서술대상 쌍의 빈도는 어떠한지 등을 살펴서 시각화 했다. 두 번째로는 LDA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대량의 문서집합에서 주제를 추출했다. 세 번째로는 공기어 및 동시출현빈도 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성적 표현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의 의미망을 드러내고자 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출할 수 있는 신재효본 판소리 사설의 성 인지 체계는 ‘은폐와 승화’를 통한 ‘일탈과 복귀’에 기반을 둔다. 판소리를 향유하면서 금기된 욕망이 사실 일상적 욕망이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자신의 성적 환상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욕망은 예외적인 상황 속에서만 드러낼 수 있지 지속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도 인지되기 때문에 결국에는 다시금 사회적 틀 내로 돌아온다. 판소리를 듣고 읽는 행위는 이야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시점까지 성을 소재로 삼아 일탈과 복귀를 반복하는 것과 같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exual cognitive system in pansori works using Shin Jae-hyo’s pansori texts as the research subject. To that end, I first extracted excerpts of sexual expressions from Shin Jae-hyo’s pansori texts such as Chunhyang-ga(NamChang), Simcheong-ga, Bak-Taryeong, Tobyol-ga, Jeokbyeok-ga, and Byeongangsoe-ga. Then, I input them on a sentence-by-sentence basis with metadata including the speaker (narrator), target of description, related characters, works, and excerpts. As a preliminary step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I performed morphological analysis and preprocessing on the data entered in the text column. This made the language of the pansori texts suitable for digital analysis tools with the input of new information or stop words into the user dictionary. Three analyses were attempted using the data extracted from Shin Jae-hyo’s pansori texts. First,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visualize which work had the most occurrences of sexual expressions and to examine the frequency of speaker-description target pairs when sexual expressions were uttered and their targets. Seco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to extract topics from a large collection of documents. Third, I used co-occurrence word analysis to reveal the semantic network of words constituting sexual expression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exual cognitive system in pansori works is based on “deviation and return.” That is, while enjoying pansori, one can realize that forbidden desires are, indeed, common desires and can satisfy sexual fantasies. However, such desires should not persist beyond exceptional circumstances and should ultimately be concealed and transformed to abide byto societal norms. Listening to and reading pansori involves repeatedly deviating from and returning to sexuality as a theme that persists throughout the whole story.

목차

1. 서론
2. 데이터 구축 및 분석 과정
3. 텍스트 분석을 통해 본 성적 표현의 특징
4. 텍스트에 나타난 性 인지 체계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호림,이승은. (2024).데이터로 본 판소리의 性 인지 체계: 신재효本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 37-74

MLA

신호림,이승은. "데이터로 본 판소리의 性 인지 체계: 신재효本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4): 37-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