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ㆍ중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

이용수 88

영문명
Study on the Media Literacy Framework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양소은 이지선 김아미 변경가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4권 제1호, 89~11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ㆍ중등학교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초ㆍ중등학교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경험하는 미디어 환경 특성이 빠르게 변화한다는 점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유관 분야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전문가 자문, 연구진 회의 등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능력을 중심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영역과 하위 핵심 능력 등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요소를 밝히고, 요소 간 관계를 위계적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 교과 교육 분야 등 다양한 유관 분야 전문가 자문진의 검토 의견을 수집해 반영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는 뉴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출현하면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세로축과 가로축을 지닌 2차원 확장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워크의 내용 영역은 ‘수용하기’, ‘생산하기’, ‘살아가기’로 구분된다. 각 영역별로는 기능적 리터러시(functional literacy)→비판적 리터러시(critical literacy)로 위계화되는 세부 핵심 능력을 설정하여, ‘수용하기’ 영역은 ‘(기능적) 소비→분석→평가’, ‘생산하기’ 영역은 ‘(기능적) 표현→확산ㆍ공유 →참여적 창작’, ‘(시민으로) 살아가기’ 영역은 ‘자기조절ㆍ안전→디지털 자아 구축→디지털 권리 이해ㆍ성찰→협력적 문제 해결’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는 초ㆍ중등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조직자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2022년 개정 고시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관련 교육 내용이 대폭 확대되고 전 교과와 전 학년군에 편재해 있는 교육 상황을 고려할 때,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for teaching media literacy in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s by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ediaenvironments and various related fields of this subject.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literature research, expert advice, and researcher meetings. W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to revealthe sub-elements constituting media literacy and the hierarchically constructed relationships between these elements. Furthermore, the review opinions of 11 expert advisors from the media communication and subject education domai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two-dimensional expansion structure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is characteristic of the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Moreover, the media literacy framework’s content areas are divided into “consuming”, “prosuming”, and “being”. For each area, detailed core competencies organized into functional and critical literacy were established. The consuming area includes “functional consumption → analysis → evaluation”; the prosuming area consists of “functional expression → diffusion/sharing → participatory creation”; and the being area includes “self-regulation and safety → digital self-building → digital rights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media literacy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organize a media literacy curriculum. Particularly,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systematical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chools as media-related educational content is significantly expan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22, and related educational content is ubiquitous in all subjects and grades.

목차

Ⅰ. 서 론
Ⅱ.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의 구성 요소와 구조
Ⅲ.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개발 과정: 전문가 검토
Ⅳ. 초ㆍ중등 학교 교육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구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소은,이지선,김아미,변경가. (2024).초ㆍ중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 교육논총, 44 (1), 89-112

MLA

양소은,이지선,김아미,변경가. "초ㆍ중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 교육논총, 44.1(2024): 8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