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ㆍ중등 교사의 갈등 유형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이용수 47

영문명
Classification of Teacher Conflict Types and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Classification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추지윤 장선희 장수연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4권 제1호, 71~8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 제1차년도(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초ㆍ중등 교사 (n=2,418)들이 학교 현장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사의 갈등 유형에 따라 교사 갈등 상황 경험의 결과변인으로 볼 수 있는 교사의 ‘소진(Burn-out)’과 ‘직무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교사의 갈등 유형을 분류하는 데에는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였고, 갈등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는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중등 교사의 갈등 유형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도출되었으며 각각 ‘갈등 최저집단’, ‘갈등 저집단’, ‘갈등 보통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의 예측요인을 탐색한 결과, 초등교사의 경우, 갈등이 낮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개인 요인은 성별, 담임 여부, 교직 선택의 내재적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환경 변인은 업무 부담, 교사 자율성, 구성원과의 관계로 나타났다. 중등교사의 경우, 개인 요인 중에서는 성별, 교직 경력, 비정규직 근무 여부가, 업무 환경 요인 중에서는 업무 부담, 교사 자율성, 구성원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결과 변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초ㆍ중등교사 모두 갈등이 낮은 집단에서 교사의 소진이 낮고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서울 교원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onflict type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flict types. In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 level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eacher conflict. For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flict types of teachers were deriv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the lowest conflict group’, ‘low conflict group’, and ‘the average conflict group’. During the exploration of the predictive factor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s,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factors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the low-conflict group were gender, homeroom status,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the work environment variabl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burden, teachers’ autonomy,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members of the staff. For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gender, the work burden, the teachers’ autonomy,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staff members, teaching career, and temporary worker statu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 ficant factors. Since the differences were assessed based on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it was found that teachers’ burnout was low and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group with low conflict, in both group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추지윤,장선희,장수연. (2024).초ㆍ중등 교사의 갈등 유형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교육논총, 44 (1), 71-88

MLA

추지윤,장선희,장수연. "초ㆍ중등 교사의 갈등 유형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교육논총, 44.1(2024): 7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