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갈등 잠재프로파일 분석: 예측요인 탐색 및 교직태도 차이 검증

이용수 19

영문명
A Latent Profile Anlaysis of Teacher Conflict: Examining Predictors and Differences in Teacher Attitude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최연우 이승현 엄문영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1호, 131~15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개인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교사갈등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의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서울지역의 초·중·고등학교 교원 2,416명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교사갈등 잠재 집단의 수는 3개로 분류되었다. 집단별 교사갈등 수준의 높고 낮음이 분명하게 구분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각 잠재 집단을 “높은 갈등 집단”, “보통 갈등 집단”, “낮은 갈등 집단” 유형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의 조직 내 위치(status)와 학교장 리더십은 교사갈등 잠재프로파일의 예측요인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담임 및 전입교사는 상위의 갈등 수준에 속할 확률이 낮으나, 부장교사의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장 리더십 중 자율성, 공정성, 책임감은 상위의 갈등 수준에 속할 확률을 낮추나, 개방적소통은 오히려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높은 갈등 수준의 집단에 속할수록 높은 수준의 부정적인 교직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위 갈등 수준의 집단에 속할수록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의 교사 소진이 나타나며, 낮은 수준의 교사 열의 및 학교 소속감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시·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수준에서 단위학교의 조직갈등 양상 및 수준을 지속적으로 점검, 학교장이 학교 구성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리더십을 펼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연수 제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plore the patterns of teacher conflict by considering individual heterogeneity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Data from the first year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Teacher were analyzed, and 2,416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Seoul area were selected for analysis. First, the number of potential teacher conflict groups was categorized into three.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high and low levels of teacher conflict among the groups, and we named each potential group as a "high conflict group," "middle conflict group," and "low conflict group" type. Next, teachers' organizational status and principal leadership were predictors of teacher conflict latent profiles.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conflict group was lower for homeroom teachers and transfer teachers, but higher for head teachers; autonomy, fairness, and accountability in principal leadership de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conflict group, but communication openness in principal leadership increased the probability. Finally, belonging to a high-conflict group was associated with higher negative teacher attitudes. On average, higher levels of conflict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eacher burnout, lower levels of teacher commitment, and lower levels of school belonging.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atterns and levels of organizational conflict in individual schools at the level of metropolitan/province offices of education and district offices of eudcation and systematic training should be provided for school principals to provide appropriate leadership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school memb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연우,이승현,엄문영. (2024).교사갈등 잠재프로파일 분석: 예측요인 탐색 및 교직태도 차이 검증. 한국교원교육연구, 41 (1), 131-157

MLA

최연우,이승현,엄문영. "교사갈등 잠재프로파일 분석: 예측요인 탐색 및 교직태도 차이 검증." 한국교원교육연구, 41.1(2024): 131-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