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35

영문명
Classification of High School Teachers' Efficacy Types and Exploration of Factors Affecting Teacher Efficacy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하정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1호, 101~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랜덤포레스트 분석을 통해 교사효능감 예측변인을 도출하고, 교사효능감 잠재프로파일의 유형별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교사효능감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구교육종단연구(DELS) 6차년도(2022) 조사의 고등학교 교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랜덤포레스트 분석 결과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평가활용 및 피드백]_수업 중 질문, 설명, 학생 학습활동 확인’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15개 변수 중 평가활용 및 피드백 요인이 7개, 수업방식 관련 요인이 4개 포함되었고, 그 외 교직경력, 학교생활과 관련한 학생특성, 교육과정 관련 연수, 학교업무 경감 정책 인지도가 높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교사효능감 ‘매우 우수’, ‘우수’, ‘일반’, ‘저’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Likert 5점 척도 기준 ‘매우 우수’ 집단은 평균 4.87, ‘우수’ 집단은 평균 4.38, ‘일반’ 집단은 평균 3.96, ‘저’ 집단은 평균 3.37로 나타나 D지역 고등학교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항로지스틱 분석 결과 수업 중 질문 또는 설명을 통해 학생의 학습 활동을 확인하는 과정중심평가가 이루어질수록, 평가결과를 학생의 성장을 위해 활용할수록, 학교업무 경감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을 잘 하려는 학생의 의지가 높을수록, 프로젝트, 실험, 토론, 논술 등의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할수록, 학생 스스로 평가하는 시간을 부여할수록 교사효능감이 더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eacher efficacy by identifying predictors using random forest and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type of teacher efficacy potential profil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on high school teachers from the 6th year(2022)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D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with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was '[Assessment and feedback]_Questioning, explaining, and checking student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7 factors related to assessment and feedback and 4 factors related to teaching methods are included among the top 15 variables. In addition, teaching career, student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hool life, training for curriculum, and awareness of policies for school work reduction were found to be highly influential factors. Second, teacher efficacy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very excellent', 'excellent', 'general', and 'low'. Based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average of 'very excellent' group is 4.87, the 'excellent' group 4.38, the 'general' group 3.96, and the 'low' group is 3.3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verall teacher efficacy of high school teachers was good. Third, the more process-oriented evaluation is conducted during class, the more the evaluation results are used for student growth,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olicies for the school work reduction, the higher the student's will to do well in life, the more diverse evaluation methods such as projects, experiments, discussions, and essays were used, and the more time students were given to self-evaluate, It is found that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long to the group with higher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improving teacher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하정. (2024).고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41 (1), 101-129

MLA

김하정.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41.1(2024): 101-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