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권 회복 및 보호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355
- 영문명
- A study on perception of restoration and protection of teaching right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정덕조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3호, 749~7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교권 회복 및 보호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교권보호 정책과 방안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C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구글(Google)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3년 11월에 실시하였다. 교권 회복 및 보호에 대한 인식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을 하였으며, 사후검사는 LSD방법을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로 사용한 설문지 문항은 현장교사 정책 TF 최종 보고서의 내용에 기초하였다. 개인특성 8문항, 학생인권조례와 교권에 대한 인식을 묻는 12문항, 교권 강화 및 교육 활동 보호에 대한 인식을 묻는 11문항, 학부모-교원 간 소통체계에 대한 인식을 묻는 11문항으로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Likert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문항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하위 요인의 Cronbach’s α 계수가 .943에서 .977의 범위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교권침해의 노출 빈도와 직간접적으로 교권침해를 경험하고 이에 대한 인식과 교권 회복 및 보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가지고 있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생인권조례와 교권, 교권 강화 및 교육활동 보호, 학부모와 교원 간의 소통에 대한 인식을 설문지 각 영역의 총점을 사용하여 살펴본 결과 4촌 이내 가족 중 교사 존재 유무를 제외한 성별, 소속, 학년, 유치원, 초·중등학교 학생 대상 아르바이트 유무, 초·중·고 재학 중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 따라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전반적으로 사범계열 학생과 초·중·고 재학 중 학교폭력을 경험한 학생들에게서 학생인권조례와 교권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인권조례와 교권(12문항), 교권 강화 및 교육활동(11문항), 학부모와 교원 간의 소통(11문항)에 인식을 묻는 43개 문항을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 사범계열, 3-4학년 여학생이, 유치원, 초·중등학교 학생 대상 아르바이트를 해본 경험이 있는 학생이, 4촌 이내 가족 중 교사가 있는 학생이, 초·중·고 재학 중 학교폭력을 경험한 학생이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학교폭력을 경험한 학생 중에서 가해자보다는 피해자가 교권 회복 및 보호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았다. 교권 회복과 보호는 학교의 교육력 회복을 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학부모와 교원 간의 소통 체계의 재정비와 학생 생활지도와 교육활동 보호 제도가 법제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restoration and protection of their teaching right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future policies and measures to protect their teaching rights. In the month of November 2023, a web-based survey, Googl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with a total of 390 students in college located in "C"-do.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o determine the perception of restoration and protection of teaching rights, and the LSD method was used for post-test.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The questionnaire used as a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8 questions),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and teacher rights (12 questions), strengthening of teacher rights and protec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11 questions), and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11 questions). It consisted of a total of 43 questions, and a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tem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As a result, the Cronbach’s α coefficients of all subfactors ranged from .943 to .977.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aware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exclu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eacher in the family within the 4th degree, gender, affiliation(teacher's college student/non-pedagogical college student), grade(1st to 4th college students), whether kindergart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ve part-time jobs, and whether or not they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while attending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There appeared to be a statistical difference (p<.05). Overall, the awareness of the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and teachers' rights was highest among teachers' students and stud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while atten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wareness of the restoration and protection of teaching rights by section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3rd and 4th grade female college students, students in kindergarten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with experience working part-time, and students with a teacher in their family within the 4th degree of kinship. Stud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while attending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had a high level of awareness. Among stud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victims ha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the restoration and protection of school rights than perpetrat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Ⅲ. 결 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주체별 요구분석
-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 참여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발명 태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영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건설적인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병렬매개효과 검증
-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인식간 상호관계 분석
- 교권 회복 및 보호에 대한 인식 연구
- 교직이론 과목에서 현장 역량 강화를 위한 혼합형 PBL 수업 사례 연구
-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인증평가 루브릭 개발 연구
-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Kolb 경험적 학습이론에 기반한 유아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적 태도 및 과학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소양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English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Using ChatGPT in Course Assignment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