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의 자기이해 경험을 통한 중학교 맞춤형 미술교육의 의미와 가능성 탐색
이용수 87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Personalized Art Education in a Middle School through Learners' Self-understanding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정 윤은주 주승민 유지혜 김선아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9집, 303~32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맞춤형 교육이 학생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학생들의 목소리를 통해 개별화된 미술 수업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맞춤형 교육의 개념과 수업 설계 전략, 미술교육에서의 학습자 특성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한 학습자 대상 FGI 자료를 중심으로 학생 평가를 위해 수집된 수업 과정 및 결과물, 맞춤형 미술교육 경험에 대한 개방형 설문 결과를 추가 확보하여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반응과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자기의 선호를 발견해가기’, ‘선택을 통해 주체적으로 판단하기’, ‘관계 안에서 차이 인정하기’로, 맞춤형 미술교육에서 나타난 자기이해의 속성이 확인되었다. 맞춤형 미술교육은 자기이해 과정이 선행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선호를 인지해 나가며 다른 사람들과 어떤 차이를 갖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돕는다. 또한 학교라는 공동체 속에서 자기이해로부터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여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교육에서 고려되어지는 학습자 데이터의 개념적 합의가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맞춤형 교육 전략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며 ‘나’의 교실에 가장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조직하는 것이 미래의 교사에게 요구되어질 새로운 역량이 될 수 있다. 셋째, 맞춤형 미술교육을통해 학습자들의 보다 깊은 자기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explored the meaning of personalized art instruction through the voice from the students. Therefore, the concept of personalized education, class design strategy,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in art education were considered. Data was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s interview for stude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class and output for student evaluation and open survey was collected together. This analyzed the overall response and experience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overing one’s prefer-ences’, ‘judging independently through choices’, and ‘recognizing differences within relationships’, which confirmed the properties of self-understanding in personalized art education. Personalized art education is preceded by a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and through this, it helps you recognize your own preferences and visually confirm your differences from others. It also plays a role in creating harmonious interactions by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self-understanding within the school communi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ual consensus of students’ data considered in differentiated edu-cation is required. Second, organizing a variety of differentiated educational strategies and organiz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are most suitable for the classroom of 'I' can be a new capacity to be re-quired for future teacher. Third, personalized art education is more self-understanding of students.
목차
I. 서론
Ⅱ. 맞춤형 미술교육의 개념 탐색
Ⅲ. 연구 방법
Ⅳ. 맞춤형 미술교육을 통한 자기이해의 속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 미술교육 도래에 따른 아동의 미술창작 인식에 대한 질적 탐구
- 예술가교사(teaching artist) 체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전인교육의 재조명과 미술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 미술교육에서 포용성의 의미와 실천 방법에 대한 고찰
- 노작교육론 기반의 ‘공동체 역량’신장을 위한 침선 공예 프로그램 개발: 두루주머니형 파빌리온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 청소년 창작자의 미술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당사자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을 통한 아동의 긍정적 정서발달의 의미와 방안 탐색: 미술교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 가스통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 개념과 입체 조형에서 자연 재료와 표현기법이 갖는 가치에 대한 연구
- ‘미적 체험’을 통한 교육적 경험의 변용과 창조
- 미술과 토의·토론의 목적과 방법: 스튜디오 크리틱 개념과 방법의 도입을 제안하며
-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매체 활용의 방향성 탐색: 벤야민, 매클루언, 플루서를 중심으로
- 학습자의 자기이해 경험을 통한 중학교 맞춤형 미술교육의 의미와 가능성 탐색
- 미술교육에서의 온오프라인 연계학습 사례 연구
- 관계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보호작업장 이용 성인지적장애인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공감 기반 미술 교육을 위한 맞춤형 미술 수업 설계 방안 탐색
- 학생 참여 중심 평가의 의미와 방법 고찰: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