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교사의 인권침해경험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수업효능감과 생활지도효능감을 중심으로
이용수 148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s' human rights violation experience and teacher efficacy: focusing on teaching efficacy and life guidance efficacy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신혜숙 박주형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6권 제1호, 147~1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의 2021년 중학교 교사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의 인권침해경험의 실태와 관련요인을 탐색하고, 교사효능감(수업효능감, 생활지도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학교 교사의 과반수가 학생으로부터 인권침해를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교사성별, 교직경력, 학교풍토, 수업교사당 학생수, 주당평균시수 등이 이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 학생에 의한 인권침해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수업효능감과 생활지도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교사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의개념을 교육활동에서 교사의 기본적 인권으로 확장하여 수업이나 생활지도 침해 외에 교사의 인권침해까지 정책적 보호대상에 포함해야 한다. 둘째, 기존의 교권침해관련 자료가 전체 교사의 교권침해를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인권침해정도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교사를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수업 및 생활지도에 대한 자신감을 다시 가질 수 있도록 심리적 지원과 연수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data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2021 from the Gyeonggi School Education Survey, this study explored the actual situation and related factors of teachers' human rights violation experienc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efficacy (instructional efficacy and life guidance 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middle school teachers had experienced human rights violations by students, and that teacher gender, teaching experience, school climate, and the average number of hours per week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were related to this. When other factors were considered, it was found that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human rights violations by students had significantly lower teaching effectiveness and life guidance effectivenes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eacher policies in Korea. First, the concept of teaching right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e basic human rights of teachers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include violations of teachers' human rights in addition to violations of teaching and life guidance. Second, existing data on teacher rights violations do not adequately reflect the full range of teacher rights violation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Third, since the degree of human rights violation negatively affects teachers' sense of teacher effectivenes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tect teachers and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and training so that they can regain confidence in teaching and life guid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라톤의『국가』1권 재해석
- 대학 입학전형 유형별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 영・정조대 성균관 원점법 및 관시(館試) 운영 연구
-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인간이해 내용 고찰
- ChatGPT를 활용한 대학생의 글쓰기 학습에서 메타인지 활용 전략이 글쓰기 과제 성취도와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을 주는 차이 분석
- 중학교 교사의 인권침해경험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수업효능감과 생활지도효능감을 중심으로
-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과 그 이전의 중 고등학생 정서문제 잠재전이유형 비교
- ‘라이즈’ 도입과 광주광역시 고등교육의 현황, 문제, 대안
-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협동심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력과 조절효과
- 교육학 연구방법으로서 머신러닝 기법 적용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