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협동심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력과 조절효과
이용수 124
- 영문명
-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강보은 이수지 윤민종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6권 제1호, 121~1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자녀의 협동심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양육태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거부, 강요, 비일관성)가 자녀의 협동심(집단촉진, 팔로워십, 갈등문제해결)에 미치는 장기 영향력과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학교 1학년 코호트(1학년, 3학년) 자료를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중 통제를 적용한 다중 회귀 분석 방법을 동원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의 집단촉진에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따스함과 구조제공이 장기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며, 팔로워십과 갈등문제해결에는 부모의 구조제공이 정적 영향을 미치고 거부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협동심 발달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협동심 수준이 낮은 자녀일수록 부모는 자녀가 가정에서자신의 존재가 거부당하는 경험을 하지 않도록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자녀의 협동심 발달을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자녀의 협동심에 도움을 제공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실증적으로 면밀하게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자녀의 협동심 발달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plore the effective parenting styles that foste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lasting impact of parenting styles(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rejection, coercion, chaos) on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group promotion, followership, conflict resolution).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se parenting styles. Using the cohort of middle school students(1st and 3rd grader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dual control approach.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ental warmth and structur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sustained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group promotion. Similarly, structure had a lasting positive effect on followership and conflict resolution. Conversely, rejection exhibited a detrimental impact on these dimensions of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s, this study identifies substantial moderation by parental rejecting attitudes. To elaborate, when children exhibit lower levels of cooperative competence, parents demonstrating accepting attitudes— preventing the experience of familial rejection - prove effective in fostering cooperative competenc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specific measures to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라톤의『국가』1권 재해석
- 대학 입학전형 유형별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 영・정조대 성균관 원점법 및 관시(館試) 운영 연구
-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인간이해 내용 고찰
- ChatGPT를 활용한 대학생의 글쓰기 학습에서 메타인지 활용 전략이 글쓰기 과제 성취도와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을 주는 차이 분석
- 중학교 교사의 인권침해경험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수업효능감과 생활지도효능감을 중심으로
-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과 그 이전의 중 고등학생 정서문제 잠재전이유형 비교
- ‘라이즈’ 도입과 광주광역시 고등교육의 현황, 문제, 대안
-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협동심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력과 조절효과
- 교육학 연구방법으로서 머신러닝 기법 적용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