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특성과 지방지배 방식의 다양성

이용수 100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and the Diversity of Province Governing Systems during Baekje’s Hanseong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박상민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9집, 731~7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4세기 중후엽 백제 중앙에 채용된 횡혈식석실분은 세 단계를 거쳐 경기 지역에서 충청 내륙, 금강 하류역 등 백제 각지로 확산한다. 횡혈식석실분의 단계별 분포 양상은 백제 세력이 마한 권역으로 확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 과정에는 백제의 지배 전략이 반영되어 있음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횡혈식석실분의 분포는 마한묘제 중 적석분구묘 분포권에서 거의 확인되지 않지만, 성토분구묘와 주구토광묘 분포권에서 밀접한 상관관계가 확인되며, 특히 주구토광묘 분포권에서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백제가 자신들의 기층문화와 이질적인 주구토광묘·성토분구묘 분포권에서는 횡혈식석실분을 집중적으로 확산시켜 지방지배를 관철시키고자 한 반면, 적석분구묘 분포권에서는 사회·문화적 동질성에 기반하여 비교적 쉽게 지방지배를 해 나갈 수 있었으므로 굳이 횡혈식석실분을 확산시킬 필요가 없었던 것을 의미한다. 즉, 백제는 마한 사회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원삼국 단계의 문화권역별로 서로 다른 시스템을 적용하여 지방지배를 실현하였던 것이다. 한편 기층문화가 이질적인 주구토광묘·성토분구묘 분포권에서 횡혈식석실분을 지역 사회에 확산시킨 후 전통적으로 이어지던 재지묘제를 단절시키거나 혹은 함께 공존시키기도 하고, 적석분구묘 분포권처럼 재지묘제를 존중하면서도 위세품을 사여하여 간접지배를 실시하는 등 그 양상이 일률적이지는 않다. 이는 큰 틀에서 백제가 기층문화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바탕으로 횡혈식석실분의 사용 규제를 통해 지방지배를 관철시키는 한편, 세부적으로는 각 지역 사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배 방식을 채택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방지배 방식에는 중앙에 의한 묘제의 규제와 차별화, 지방의 중앙묘제 모방 욕구 이용, 재지묘 제의 존중을 통한 지지기반 확보 등의 전략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었다. 그 결과 백제는 전 지역에 걸쳐 전방위적으로 영역화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을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절감된 에너지를 바탕으로 목지국 등 마한 소국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고 효율적으로 마한 사회를 통합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emergence and spread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橫穴式石室墳) during Baekje’s Hanseong period are understood as closely linked to the rule of provinces however, these tombs are not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area of Baekje, but concentrated in specific area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thereby looking in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se characteristics.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adopted by the central Baekje in the late 4th century spread in three stages to various regions of Baekje ranging from Gyeonggi region to inland Chungcheong and the downstream region of Geumgang River. The aspects of the step-by-step distributio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show the process of Baekje’s power expansion to the area of Mahan, and verify that Baekje’s governing strategy was reflected in this process. While such a distributio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is hardly found in the distribution area of rock mound tombs (積石墳丘墓) among tomb systems in Mahan, its close correlation is confirmed in the distribution areas of earth mound tombs (盛土墳丘墓) and of ring ditched pit tombs (周溝土壙墓). And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ion density is highest in the distribution area of ring ditched pit tombs. This implies that while Baekje tried to accomplish provincial rule by spreading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intensively in the cultural area origin that was foreign to Baekje’s underlying culture, they needed not bother to spread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in the cultural area because Baekje was able to govern the cultural area origin with relative ease on the basis of cultural and social sameness. That is, Baekje realized provincial rule by applying different systems according to areas of Mahan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Mahan society. On the other hand, Baekje made the existing local traditional tombs disappear or coexist after spreading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to local community in the distribution areas of earth mound tombs and of ring ditched pit tombs where underlying culture was different; or imposed indirect rule by granting prestige goods while respecting the existing local tombs as in the distribution area of rock mound tombs. And thus, the aspects of provincial rule were not uniform. This means that Baekje accomplished provincial rule through regulating the use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sameness or difference of underlying culture in a broad framework, while adopting various governing strategies in detail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each provincial society. It appears that as for the province governing systems, multiple ruling strategies were applied, such as the central regul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omb systems, the use of provincial desire for imitating the central tomb system, and the securing of support base through respect for the existing local tomb system. As a result, Baekje created circumstances in which it needed not proceed with multidirectional territorialization across all the areas including the distribution area of earth mound tomb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area of rock mound tombs. And consequently, Baekje was able to win a victory in competition with Mokjiguk (目支國) and integrate the society of Mahan.

목차

Ⅰ. 머리말
Ⅱ. 횡혈식석실분의 분류와 단계설정
Ⅲ. 마한묘제와 횡혈식석실분 분포의 상관관계
Ⅳ.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특성과 지방지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민. (2023).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특성과 지방지배 방식의 다양성. 한국고고학보, (), 731-760

MLA

박상민.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특성과 지방지배 방식의 다양성." 한국고고학보, (2023): 731-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