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突厥遺蹟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歷史·考古學的 意味

이용수 39

영문명
The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ignificance of Tang-style Metal Belts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Turkic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崔正凡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9집, 881~90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7-9세기 동북아시아 각국의 관인을 상징하는 당식 대장식구는 중국의 당뿐만 아니라 주변의 신라·발해·일본 등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산된다. 돌궐에 이입된 당식 대장식구는 당과 돌궐의 정치·군사적 관계와 기미부주정책 등에 따라 이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입 시점은 隋代 동돌궐에서 중국의 복식을 도입하는 607년과 唐代 퀼 테긴·빌게 카간 제사유적 건립에 당의 공인과 물자가 대거 이입되는 731-735년을 획기로 삼을 수 있다. 한편 대장식구를 소유하는 계층은 돌궐 내 유력 부족 세력이기는 하나, 그들은 정주 국가의 율령 관인이 아니라는 데서 차별성을 보인다. 아울러 형식의 변천도 중국에서의 변화과정을 그대로 따르기보다는 문양이 주출되거나 장식성이 부가되며 당식 대장식구와는 차별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양상은 실위·발해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되는데, 동일한 장식도안을 사용하여 문양이 주출되는 과판의 존재, 이질적인 형태의 과판이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또 다른 상호작용망이 형성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돌궐 지역에서 출토된 당식 대장식구는 중국과의 정치·군사적 배경 속에서 이입되기는 하나, 주변국과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영역 내부로 확산되었다. 아울러 독자적인 변용이 이루어진 대장식구가 주변으로 재확산된 사실은 북방지역에 또 다른 물질문화의 다원적 상호작용망이 형성되었음을 일러준다.

영문 초록

During the 7th to 9th centuries, ceremonial insignia known as “Tang-style belt ornaments” representing the government license of each country in Northeast Asia spread to the Tang in China and neighboring regions such as Silla, Balhae, and Japan. It is believed that the adoption of Tang-style belt ornaments in the Turkic Khaganate wa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and military relationships between the Tang Dynasty and Turkic Khaganate, as well as the Jimifuzhou System. The adoption of Tang-style belt ornaments can be traced back to two significant periods: the year 607, when Chinese attire was introduced in the Eastern Turkic Khaganate during the Sui Dynasty; and the years 731-735, when the Tang Dynasty's official authority and materials were extensively adopt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Qil Tegin and Bilge Kagan's ancestral sites. The social class that possessed the belt ornaments were influential tribal factions within the Turkic Khaganate. However, they are differentiated in that they are not statutory officials of the settled state. Furthermore, the style of the belt ornaments underwent changes in form that deviated from the evolution of styles seen in China. They incorporated local patterns and additional decorations, demonstrating a distinctiveness from Tang-style belt ornaments. These characteristics are believed to have influenced Shìwéi and Balhae. The existence of signboards featuring the same decorative patterns and the spread of heterogeneous signboards to the surrounding areas imply the formation of another network of interactions. The Tang-style belt ornaments unveiled in the Turkic Khaganate were introduced within the Chinese political and military context but spread within regions through different mechanisms compared to neighboring countries. Additionally, the fact that modified belt ornaments spread to the surrounding areas indicates the formation of a diverse network of material cultural interactions in the northern region.

목차

Ⅰ. 머리말
Ⅱ. 突厥의 古墳과 帶裝飾具 出土 現況
Ⅲ. 唐式 帶裝飾具의 轉入과 變容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正凡. (2023).突厥遺蹟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歷史·考古學的 意味. 한국고고학보, (), 881-906

MLA

崔正凡. "突厥遺蹟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歷史·考古學的 意味." 한국고고학보, (2023): 881-9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