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라남도 방언구획을 위한 계량적 연구방법 탐색 -레벤슈타인 거리와 음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이용수 22

영문명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Sub-dialect Division of Jeollanam-do: Using Levenshtein Distance and Phonological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정성훈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76집, 125~15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레벤슈타인 거리와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한국어 방언을 구획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기갑(1984, 1986)의 전라남도 방언 자료를 활용하여 방언 음소를 대상으로 최초로 레벤슈타인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음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군집 분석을 수행하여 전라남도 하위방언을 구획하였다. 또한 동일한 자료를 사용한 이기갑(1984, 1986)의 방언구획과 비교‧대조하여 본 연구의 방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레벤슈타인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역은 영암 군서와 영암 시종, 영암 군서와 영암 학산, 영암 시종과 영암 학산, 완도 완도읍과 완도 고금 지역이었으며, 거리가 가장 먼 지역은 광양 진월과 진도 임희, 광양 진월과 진도 조도 지역이었다. 이를 네트워크 가중치로 변환하였는데, 가중치의 최댓값은 100으로 영암 군서와 영암 시종, 영암 군서와 영암 학산, 영암 시종과 영암 학산, 완도 완도읍과 완도 고금 지역이었으며, 가중치의 최솟값은 약 6.93으로 광양 진월과 진도 임희, 광양진월과 진도 조도 지역이었다. 가중치를 바탕으로 전라남도 하위방언 음운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 하위방언의 연결선 수, 연결강도 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측정하였다. 연결강도 중심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함평 학교 지역, 가장 낮은 지역은 광양 진월이었다. 근접 중심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영암 시종‧영암 군서‧영암 학산 지역이었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역시 광양 진월이었다. 전라남도 서부 지역일수록 중심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하위 핵방언권은 함평과 영암 지역으로 판단되며 가장 이질적인 하위방언은 광양 진월로 보인다. 전라남도 하위방언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전라남도 하위방언은 크게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으로 구분되는데 동부는 다시 구례‧광양‧여천‧승주 지역과 곡성‧보성(득량, 미력)‧고흥‧완도(금일읍) 지역으로 구획되며 서부는 다시 보성 웅치 지역, 완도(완도읍, 고금, 노화읍, 청산, 신지)‧신안(암태, 팔금, 자은, 장산)‧진도(임희, 조도)‧해남‧강진‧영암(삼호) 지역과 무안‧신안(중도, 압해, 하의,비금, 도초, 흑산)‧광산‧담양‧장성‧영광‧함평‧나주‧진도(고군)‧화순‧장흥‧영암(삼호 제외) 지역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보성(웅치)는 서부 지역에서 특이한 하위방언으로,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의 중간 지대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divide the sub-dialects of Jeollanam-do using Levenshtein distance and network analysis. For the first time, we measured the Levenshtein distance on Korean dialect data, and constructed a phonological network which is based on this. Then, cluster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divide the sub-dialects of Jeollanam-do and compared them with the dialect division of Lee Ki-gap(1984, 1986). Through the Levenshtein distance measurement, the closest regions in Jeollanam-do were Yeong-am gunseo and Yeong-am Sijong, Yeong-am gunseo and Yeong-am Haksan, Yeong-am Sijong and Yeong-am Haksan, Wando Wansdo-eup and Wando Gogeum regions. But the farthest regions were Gwang-yang Jinwol and Jindo Imhui, Gwang-yang Jinwol and Jindo Jodo area. This distance was converted into network weights to construct a phonological network in Jeollanam-do. On the phonological network in the sub-dialect of Jeollanam-do, we measured the degree strength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e west of Jeollanam-do tended to be higher in terms of centrality, and the core area of sub-dialect division were judged to be Hampyeong and Yeong-am, and the most heterogeneous sub-dialect was Gwang-yang Jinwol. As a result of clustering analysis on the sub-dialects of Jeollanam-do, the sub-dialects of Jeollanam-do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east was again divided into two areas, and the west was also divided into two areas. Interestingly, Boseong Ungchi is a unique sub-dialect region in the west, and appears to be a transitional area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hat uses Korean dialect phonological data and divide sub-dialects using a quantitative method-Levenshtein distance and network analysis.

목차

1. 서론
2. 전라남도 방언의 음운적 특징과 방언구획
3. 전라남도 방언의 레벤슈타인 거리
4. 전라남도 방언의 음운 네트워크 구조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훈. (2024).전라남도 방언구획을 위한 계량적 연구방법 탐색 -레벤슈타인 거리와 음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 125-153

MLA

정성훈. "전라남도 방언구획을 위한 계량적 연구방법 탐색 -레벤슈타인 거리와 음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2024): 125-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