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預期視角 下對韓國語" -더니" 与漢語"來着"的再認識
이용수 1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單清叢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80호, 23~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Korean conjunction ending ‘-doni’ and the Chinese particle ‘láizhe’ are typical grammatical expressions in Korean and Chinese expressing retrospective nature. The predecessors have conducted in-depth and detailed discussions on the two mainly from the aspects of tense and aspect. This article is mainly based on the expectation category theory and the relative univocity theory to re-examine and interpret these two expression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initially: First, the Korean conjunction ending ‘-doni’ and Chinese particle ‘láizhe’ basically have obvious expectation attributes, and can be based on information changes of the communicative subject in different contexts are further classified; second, although these two expressions have strong expectation characteristics, they still show different tendencies internally. The counter-expectation tendency of Korean ‘-doni’ is more prominent, the positive expectation and relief counter-expectation tendencies of the Chinese particle ‘láizhe’ are more prominent; thir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expressions at the expectation category can be mainly explained by the aspects of grammaticalization and pragmatic reasoning mechanism.
영문 초록
목차
Ⅰ. 引言
Ⅱ. 前人研究
Ⅲ. 理论背景
Ⅳ. 韩国语连接词尾“-더니”的预期特点
Ⅴ. 汉语助词“来着”的预期特点
Ⅵ. 韩国语“-더니”与汉语“来着”的预期特点对比及动因分析
Ⅶ. 结语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美国信用评级机构对主权国家国债收益率的影响及对 中国的启示
- 文化語言學視野下的瀕危滿語發展變遷研究述評
- 主观性视域下“我去”的共时与历时研究
- 《明通賦》의 격국론 고찰
- 中西文化視域中"博物"觀念异同及其特質
- “以来”與“来”的词汇化、语法化溯源
- 預期視角 下對韓國語" -더니" 与漢語"來着"的再認識
- 현대중국어 ‘V不起’구문에 대한 소고
- 现代汉语副词“就”与其他副词的连用顺序考察
- 語言信息結构視角下的漢語情景會話研究
-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오류 연구 ―H2-4(4503hujiaomanchan~5283hualang)을 중심으로
- 소설 《紅高粱家族》과 드라마〈紅高粱〉의 서사구조 비교
- 辛弃疾“题壁词”研究
- 19세기 말 한중 농민운동 비교연구: -동학농민혁명과 의화단운동을 중심으로
- 儒學視域下的《論佛骨表》小考
- 전근대 시기 화인의 태국 이주과정에 대한 연구
- 우쯔후이(吳稚暉) 사상의 생태주의적 의의
- 유네스코 유산에 등재된 ‘중국서예’·‘몽고서예’와 ‘한국서예’의 등재 가능성 분석
- 중국과 일본 차문화산업 비교 연구 - 커피문화 확산에 따른 중국 차문화산업의 발전 방안을 중심으로
- 보이차석茶席 설계에 관한 연구
- 文化視闕下城鄉敎育公平問題及對策研究
- 국가론적 시각에서 중국의 플랫폼, 소비자 및 국가의 관계 연구 - 빅데이터 고객차별(殺熟)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문학분야 NEW
- 절의의 상징과 표현에 대한 연구 - 이주환(李柱煥) 순절(殉節) 추도문을 중심으로
- 위관(韋觀) 윤충하(尹忠夏)의 대일 항쟁 양상
- 어적(漁適) 류중룡(柳仲龍)의 학문과 절의정신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