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상간호사의 자기돌봄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기반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226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Digital Platform-Based Group Art Therapy for the Clinical Nurses’ Self-Care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박나현 서안나 한경아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6호, 1847~18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상황 속 임상간호사들의 자기돌봄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기반 집단미술치료에서의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밝혀 임상간호사의 자기성찰 증진 및 심리적 소진을 다룰 수 있는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참여자는 COVID-19 기간 동안 6개월에서 1년 이상의 간호 경험이 있는 13명의 임상간호사이다. 자료는 총 4회기 진행된 집단미술치료 내 작품 사진, 글쓰기, 임상일지와 심층 인터뷰 시 녹취록, 축어록 등이 활용되었다. Creswell(2017)의 질적 연구 자료 분석 방법 5단계를 적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개의상위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간호사들은 자기돌봄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기반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COVID-19 상황과 직업적 어려움으로 인한 제한된 상황에서도 간호사로서의 동질감을 느끼며 연대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둘째, 임상간호사들은 자기인식과 자기조절을 돕는 수단으로서 창의적 미술을 활용하여 개인의 정신건강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셋째, 임상간호사들은 그동안 알아채지 못했던 자신의 욕구와 가치 등을 깨닫고, 균형과 삶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digital platform-based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in promoting clinical nurses’ self-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participants were 13 clinical nurses with six months to over one year of nursing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including artwork photographs, written reflections, clinical journals, in-depth interview recordings, and field not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reswell’s(2017) five-step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the results findings revealed 6 major themes and 13 sub-themes.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case study of digital platform-based group art therapy considering the specialized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linical nurses were able to experience a sense of solidarity with feeling homogeneity as nurses, even in situations of limited mobility due to the COVID-19 and professional difficulties, through digital platform-based group art therapy for self-care. Secondly, the digital platform-based group art therapy demonstrated positive changes in individual mental health, for supporting their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Thirdly, this study revealed that nurses became aware of their needs and values and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balance and lif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cont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자기돌봄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기반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미술치료사의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SP) 체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국내 미술치료 대학원 석, 박사 교과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 미술치료사의 사불수행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20대 후반 남성의 성중독 경향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길그림을 활용한 아동학대 행위자의 상담 경험연구
- 미술치료사가 경험한 반응작업에 대한 질적메타합성
- 다문화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유분증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 틱 증상을 보이는 아동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발달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의 퇴행 행동 및 우울, 불안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미술치료사들의 직업 소명 의식에 대한 해석 현상학적 분석(IPA)
- 원격화상 집단미술치료가 암 생존자의 삶의 질, 암 대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치료사의 직업정체성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5권 2호 목차
- 보육교사의 원장-교사 교환관계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과업갈등과 직무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 간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