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특성 및 주거환경과 낙상 간 관련성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Associ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진연주 홍익표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0권 제2호, 79~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낙상과 관련된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과 주거환경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과 일반적 및 건강 관련 특성, 주거환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수의 결측치를 제외한 9,411명의 자료 를 활용하였다. 노인의 낙상 여부에 따른 일반적 및 주거환경, 건강 관련 변수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585명(6.2%), 낙상을 경험하지 않은 노인 8,826명(93.8%)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연령은 65~74세가 6,069명(64.49%)으로 여성이 59.78%에 해당하였다. 낙 상과 가장 큰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주택 종류 중 기타 3.91배(95% CI: 1.85, 8.27)로 나타났으며 배 우자가 없을 때 2.30배(95% CI: 1.37, 3.85), 일한 경험은 있으나 현재 일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2.13배(95% CI: 1.49, 3.0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낙상 위험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대상자 분류 및 선정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lls and the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as well as their home environments. Methods: A total of 9,411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re retrieved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he relationships among falls,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home environment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dependent variable was fall events during the past 12 month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mograph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home environments. Results: The majority of the sample individuals were 65-74 years in age (n = 6,069, 64.49%) and female (n = 5,626, 59.78%). A total of 585 (6.2%) older adults experienced a fall during the past year. Among the older adults, those living in another house type (odds ratio [OR] = 3.91, 95% confidence interval [CI] 1.85-8.27), having no spouse ([OR] = 2.30, 95% [CI] 1.37-3.85), and having no jobs ([OR] = 2.13, 95% [CI] 1.49-3.04) were likely to have a fall during the past 12 month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inform clinicians regarding the fall-related characteristic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help practitioners prioritize treatment plans for home modif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se of the Penetration Aspiration Scale During Routine Video Fluoroscopy for Inpatient Rehabilitation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 효과
- 장기요양보험 등급 외 판정 노인의 상하지 잔존 운동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독립성 간의 관계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특성 및 주거환경과 낙상 간 관련성 연구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 이중과제 프로그램 개발: 델파이 연구
- 효과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청소년의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활동 참여 유형과 유형별 주관적 복지감(Subjective well-being)과 행복감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