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 효과

이용수 3

영문명
Effectiveness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s for Preventing Addiction to Smartphones in Adolescents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조은미 유은영 박지혁 박혜연 이지연 이재신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0권 제2호, 17~3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 척도)에서 잠재적 위험군으로 분류된 중학생을 대상으로 Jo(2019)가 개발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을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방법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8명으로 8주간 매주 1회 60분으로 8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마트폰 중독 수준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활동 참여 종류 및 수준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집단 내 치료 전후의 유의 성을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은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 치료 프로그램을 적 용 후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감소하였고, 자기통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활동에 대 한 흥미와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활동의 참여 상황에서 혼자 하는 활동은 감소하고, 친구 및 가족 과 하는 활동이 증가하였으며, 학교에서의 활동도 증가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자기통제력, 활동에 대한 흥미, 만족도 및 활동의 참여 상황 모두 프로그램 전과 후 유의미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결론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은 학교 및 지역사회의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들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중독 중재치료에 대한 근거기반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 group CBT program for prevent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a potential risk group for such addiction from becoming addicted to smartphones. Methods: There were 16 participants in this study who were found to be of potential risk group based on the Youth Smartphone Addiction Self-Diagnosis Scale (S scale). Each participant was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or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eight 60-min sessions of CBT (n = 8), whereas the control group received two 60-min sessions of CBT. The effectiveness of the CBT program was assessed based on the Youth Smartphone Addiction Self-Diagnosis Scale (S scale), Self-Control Scale, and Children’s Assessment of Participation and Enjoyment (CAPE).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for validation, as well 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As the experiment results of smartphone addiction show, the adolescents improved in terms of self-control, and were able to participate in everyday activities outside of their mandated school work.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tes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martphone use, self-control, and participation in daily activities. Conclusion: As a resul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and expect positive effects on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미,유은영,박지혁,박혜연,이지연,이재신. (2022).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0 (2), 17-30

MLA

조은미,유은영,박지혁,박혜연,이지연,이재신.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0.2(2022): 17-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