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효과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이용수 5

영문명
Scoping Review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Lifestyle Intervention Education Model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미경 박혜연 박강현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0권 제2호, 41~5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고령화 시대의 부정적인 노인 문제를 해결하고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라이프스타일 중재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나 라이프스타일 중재를 위한 전문가 양성 교육 모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 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진행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향 후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문가 양성 교육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Arskey 와 O’Malley가 제시한 5단계의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의 연 구 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문헌 검색을 통해 Lifestyle Medicine Global Alliance(LMGA)과 자매결 연을 맺은 28개의 단체들이 진행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교육 목적, 대상, 방법, 과정들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만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6개의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 첫째, 국가별로는 미국이 4개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 로 대한민국이 2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 대상자 자격요건은 의료·보건·건강 종 사자로 제한하거나 별다른 제한 없이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수할 수 있도록 한 경우가 각각 2 개씩 있었다. 셋째, 5개의 프로그램이 온라인 기반 비대면 교육 전달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교육 내용은 대부분 신체활동, 식이, 정신적 건강(수면 및 스트레스 관리), 약물 관리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 행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문가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따라 서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프로그램 교육 대상자 자격요건, 효과적인 교육 전달방식, 교육 내용 등을 향후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활동 참여 및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내용도 추가한 다면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를 위한 전문가 교육과정이 새롭게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Although interest in lifestyle intervention, which is applied to solve problems of the elderly in the aging era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is increasing, research on education models for cultivating experts in such intervention remains insuffici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to analyze the lifestyle expert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develop a lifestyle expert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a domestic environment.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ve research stages of the scoping review suggested by Arskey and O'Malley. Through a literature search, programs that can be clearly identified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purpose, target population, method, and process were selected. These programs have established ties with the Lifestyle Medicine Global Alliance (LMGA).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six programs were selected. First, in terms of country, the United States was the largest with four programs, followed by South Korea with two. Second, there were two cases in which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the education subjects were limited to medical, health, and health workers; otherwise, anyone interested could complete them without restrictions. Third, five programs had an online-based education delivery method. Fourth, mos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focused on physical activity, diet, mental health (sleep and stress management), and drug management. Conclusion: This study prepare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new lifestyle intervention expert educa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future domestic case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the qualifications for program education, effective education delivery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identifi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a new expert curriculum for multi-faceted lifestyle intervention must be developed, thereby adding content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and develop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목차

Ⅰ. 서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경,박혜연,박강현. (2022).효과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0 (2), 41-58

MLA

김미경,박혜연,박강현. "효과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0.2(2022): 4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