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효과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이용수 5
- 영문명
- Scoping Review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Lifestyle Intervention Education Model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미경 박혜연 박강현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0권 제2호, 41~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고령화 시대의 부정적인 노인 문제를 해결하고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라이프스타일 중재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나 라이프스타일 중재를 위한 전문가 양성 교육 모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 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진행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향 후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문가 양성 교육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Arskey 와 O’Malley가 제시한 5단계의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의 연 구 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문헌 검색을 통해 Lifestyle Medicine Global Alliance(LMGA)과 자매결 연을 맺은 28개의 단체들이 진행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교육 목적, 대상, 방법, 과정들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만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6개의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 첫째, 국가별로는 미국이 4개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 로 대한민국이 2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 대상자 자격요건은 의료·보건·건강 종 사자로 제한하거나 별다른 제한 없이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수할 수 있도록 한 경우가 각각 2 개씩 있었다. 셋째, 5개의 프로그램이 온라인 기반 비대면 교육 전달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교육 내용은 대부분 신체활동, 식이, 정신적 건강(수면 및 스트레스 관리), 약물 관리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 행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문가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따라 서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프로그램 교육 대상자 자격요건, 효과적인 교육 전달방식, 교육 내용 등을 향후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활동 참여 및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내용도 추가한 다면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를 위한 전문가 교육과정이 새롭게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Although interest in lifestyle intervention, which is applied to solve problems of the elderly in the aging era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is increasing, research on education models for cultivating experts in such intervention remains insuffici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to analyze the lifestyle expert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develop a lifestyle expert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a domestic environment.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ve research stages of the scoping review suggested by Arskey and O'Malley. Through a literature search, programs that can be clearly identified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purpose, target population, method, and process were selected. These programs have established ties with the Lifestyle Medicine Global Alliance (LMGA).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six programs were selected. First, in terms of country, the United States was the largest with four programs, followed by South Korea with two. Second, there were two cases in which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the education subjects were limited to medical, health, and health workers; otherwise, anyone interested could complete them without restrictions. Third, five programs had an online-based education delivery method. Fourth, mos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focused on physical activity, diet, mental health (sleep and stress management), and drug management. Conclusion: This study prepare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new lifestyle intervention expert educa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future domestic case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the qualifications for program education, effective education delivery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identifi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a new expert curriculum for multi-faceted lifestyle intervention must be developed, thereby adding content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and develop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목차
Ⅰ. 서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se of the Penetration Aspiration Scale During Routine Video Fluoroscopy for Inpatient Rehabilitation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 효과
- 장기요양보험 등급 외 판정 노인의 상하지 잔존 운동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독립성 간의 관계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특성 및 주거환경과 낙상 간 관련성 연구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 이중과제 프로그램 개발: 델파이 연구
- 효과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청소년의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활동 참여 유형과 유형별 주관적 복지감(Subjective well-being)과 행복감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