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 이중과제 프로그램 개발: 델파이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Online Cognitive-motor Dual Task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Delphi Stud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배수영 주유미 진연주 강수라 남상훈 홍익표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0권 제2호, 59~7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상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 이중과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는 문헌 고찰,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 개발, 델파이 설문조사 과정을 거쳤다. 문헌 고찰은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세 명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어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검토하였으며 이후 1차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차 델파이 설문조사는 2021년 10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델파이 설문조사의 전문가 패널은 총 20명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1그룹은 국내외 대학교 작업치료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노인 연구를 1회 이상 수행하였거나 노인 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자이며, 2그룹은 노인 작업치료 임상 경력이 5년 이상이거나 작업치료학 석사 및 박사과정 재학생인 자이다. 1차 델파이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중재 프로그램의 수정과정이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12회기의 비대면 인지-운동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수정된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2차 델파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설문조사의 결과에서는 61개 모든 항목의 content validity ratio (CVR)값은 기준값인 .5 이상이었으므로 삭제해야 할 문항은 없었다. 그러나 전문가 패널의 조언 및 의견을 수렴하여 과제의 난이도와 연결된 인지 영역을 수정했다. 2차 델파이 설문조사 결과 65개 모든 항목의 CVR값은 .7~1.0이었으며 안정도는 .5 이하로 전문가 패널의 응답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수렴도는 .125~.5였으며 합의도는 .67~1.0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근거 기반의 중재를 제공하고자 문헌 고찰과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 12회기의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은 과제의 적합도, 난이도의 적절성, 인지 패러다임과 인지 영역에 대한 매칭의 타당도가 적합하였으므로 근거 중심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pplied the Delphi method to develop a non-face-to-face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in healthy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1. First,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three researchers on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s and Delphi surveys, after which the primary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21 to November 2021. The expert Delphi survey panel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 professor group comprising occupational therapy professors from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a researcher group comprising those who had more than 5 years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experience and students from the occupational therapy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n r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welve non-face-to-face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sessions were finally developed.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odified intervention program to collect further opinions.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values for all 61 items were above the standard value of .5, so no items were deleted. However, the second Delphi survey, which collected advice and opinions from the expert panel, modified the cognitive domain to match the task difficulty. The second Delphi survey results had CVR values for all 65 items of .7–1.0 and stability of .5 or less, which indicated that the expert panel's responses were stable. The degree of convergence was .125–.5, and the degree of agreement was .67–1.0. Conclusion: In this study, 12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session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surveys to provid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he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derived from this study could provid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based on task suitability, appropriate difficulty, valid matching, and appropriate cognitive paradigms and domai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ppendix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se of the Penetration Aspiration Scale During Routine Video Fluoroscopy for Inpatient Rehabilitation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 효과
- 장기요양보험 등급 외 판정 노인의 상하지 잔존 운동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독립성 간의 관계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특성 및 주거환경과 낙상 간 관련성 연구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 이중과제 프로그램 개발: 델파이 연구
- 효과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청소년의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활동 참여 유형과 유형별 주관적 복지감(Subjective well-being)과 행복감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