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안내지침

이용수 2

영문명
Guidelines on the Main Work and Scope of Practice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유두한 장종식 최성열 김지현 김영란 이재신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4권 제2호, 125~13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론 : 본 연구는 한국 작업치료사의 주요 업무에 대하여 법률적 근거를 바탕으로 명확하게 정의하고,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에 대해 임상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안내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론 : 작업치료 업무범위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위해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을 바탕으로 관련 자료 및 문헌 고찰을 통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업무행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작업치료사는 신체적·정신적 기능장애를 가진 대상자를 원활하게 회복시키기 위한 목적이자 수단으로 일상에서 사용하는 물체나 기구를 활용할 수 있다. 작업치료사의 고유 업무는 개인에게 필요한 작업적 역량과 의지에 따라 삶에 참여하고 독립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작업치료사가 수행하는 업무 내용에는 감각훈련, 활동훈련, 작업적 일상생활훈련, 인지재활치료, 삼킴장애재활치료, 상지보조기 제작 및 훈련, 작업수행분석 및 평가, 그 밖의 작업요법적 훈련·치료를 포함하고 있다. 결론 : 개정된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는 향후 보험수가 개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국민을 향한 작업치료 정책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proposes guideline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identify and clarify the scope of their main work and practice, based on legislative evidence. Main: Clear identification of their scope of practice can reduce confusion occurring during clinical practice. In addition, continuous promoting and education are needed to allow actual task performance to reflect the related regulations. The scope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ims to recov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dysfunc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occupational therapists utilize objects or instruments used in daily life as a means of practice. The unique tasks and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nable an individual to participate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rough their own volition and capacity, and to live without disability. The expecte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volves sensory activity training, occupational daily living training,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dysphagia rehabilitation treatment, production and training of assistive devices for upper extremities, occupational performance analysis and evaluation, and some additional therapeutic-occupational training and treatment. Conclusion: The revised scope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may provide a positive contribu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insurance fees and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the polic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ublic health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두한,장종식,최성열,김지현,김영란,이재신. (2016).한국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안내지침.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4 (2), 125-138

MLA

유두한,장종식,최성열,김지현,김영란,이재신. "한국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안내지침."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4.2(2016): 125-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