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6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s for the Screening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진혁 박지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4권 제2호, 19~3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임상 및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 11월 한 달 동안 Embase, PubMed, PsycINFO, The Cochrane Library에서“computerized”OR“computer-based”AND“cognitive assessment”OR“screening test”AND“mild cognitive impairment”의 키워드를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12개의 연구에서 9개의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를 추출하였다. 연구의 질적 수준, 평가 구성 비율, 대상자 선정기준, 평가 운영체제, 시행방법, 평가영역, 신뢰도, 민감도 및 특이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2편의 연구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수준 Ⅱ의 연구는 11편으로 전체의 91.7%였고 수준 Ⅲ 단계의 연구는 1편으로 전체의 8.3%를 차지하여 전반적인 근거수준은 대체로 높았다. 경도 인지장애 대상자 선정을 위해서 간이정신건강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을 포함해 다양한 평가를 사용하고 있었다. 9개의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 중 알츠하이머형 치매 선별도 가능한 것은 3개였다. 대부분의 평가는 컴퓨터 기반으로 3~30분 이내의 시간에 시행되고 있었으며,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자기시행법이 가장 많았고 터치를 이용한 방법이 다음으로 많았다. 각 평가별로 평가영역에 차이가 있었으나 기억력 평가는 모든 평가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평가의 신뢰도는 대체로 높았다. 평가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지필평가와 유사하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추후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stematically review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s for the screening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Methods : We searched papers published in Embase, PubMed, PsycINFO, The Cochrane Library. The key words used in the search were “computerized”, “computer-based” and “cognitive assessment”, “screening test” and
“MCI” In total of 12 papers, nine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s were extracted.
Results : The evidence of the 12 papers ranged from levels Ⅱ(91.7%) to Ⅲ(8.3%), indicating that the overall evidence level was high. The total number of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s that can be used to screen Alzheimer’s type dementia in addition to MCI was three. The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a variety of tests includ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ost of the tests were conducted within 3 to 30 minutes using a keyboard or mouse by self administration. Although the test areas differ between the system used, the memory area was included in all tests. The reliability of the tests was high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tests
were shown to be similar to or lower than paper and pencil based tests.
Conclusions :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 for the screening of MCI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클라이언트중심 가정방문 작업치료가 치매특별등급 대상자의 활동참여에 미치는 효과 : 사례연구
- 국내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 실태 조사
-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와 상담욕구 조사
- 노인 운전자의 운전수행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에 대한 체계적 고찰
- 한국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안내지침
- WFOT 교육인증 및 한국형 작업치료교육품질인증 평가에 대한 작업치료(학)과 교수 인식도
- 포괄간호서비스 도입에 따른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역할 : 미국, 영국, 호주 사례분석
-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욕창예방방석의 중재와 효과 측정 방법 : 체계적 고찰
-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