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 개발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Standard Termin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 Documentations Focusing on Korean-Type Medical Institution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송영진 우희순 이향숙 이미영 권이영 차유진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4권 제2호, 111~12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임상용어체계 표준화를 위한 후속 연구로 작업치료 기록의 분류 및 세부치료 행위에 대해 용어를 확립한 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여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를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들이 근무하는 의료 기관을 대상으로 지역별, 병원종별, 사례별 임상에서의 작업치료행위 기록현황 결과를 기반으로 국제 기능, 장애 및 건강에 대한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와 작업치료 실행체계(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를 근거로 5단계의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고 타당도 검증은 내용타당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결과 :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9개의 대분류는 감각치료, 지각치료, 인지치료, 신경근·골격계치료, 연하치료, 활동 및 참여–이동 및 움직임, 활동 및 참여–기본적 일상생활활동, 활동 및 참여–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활동 및 참여–그 밖의 작업치료로 구성되었다. 내용타당도 검증결과 임상 작업치료 용어에 대한 전체 내용타당도 지수는 .89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향후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를 활용하여 활동 및 참여 중심의 작업치료 문서화가 가능해지고,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의 사용빈도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작업치료 보험수가 개발 및 확대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to the standardization of a clinical terminology system for Occupational Therapy (OT), and aims at developing the standard terminology for OT documentations focusing on Korean-type medical institutions, by establishing terminologies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OT documentations and detailed treatment acts, determining its applicability through consultations with the experts, and verifying its validity. Methods: For medical institutions wher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of occupational therapeutic actions in a clinical setting by case, standardization was developed by reflecting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a seminar with the consultants, consultations with experts, reviewing the focus group, and a validity investigation. For verifying the validity, the content validity index was calculated. Results: Nine broad classifications of OT documentations focusing on Korean-type medical institutions consist of sensitive therapy, perceptive therapy, cognitive therapy, neuromuscular skeletal system therapy, dysphagia rehabilitation, activities and participation-mobility, activities and participation-ADL, activities and participation-IADL, and activities and participation-other occupational therapies. As a result of th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the entire content validity index on clinical OT terminologies was higher than 8.9.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standardization will be available for the documentation of OT focusing on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using standard terminologies for OT documentations focusing on Korean-type medical institutions and for applying it as evidence to develop and extend OT insurance costs using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of usage of standard terminologies about OT documen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클라이언트중심 가정방문 작업치료가 치매특별등급 대상자의 활동참여에 미치는 효과 : 사례연구
- 국내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 실태 조사
-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와 상담욕구 조사
- 노인 운전자의 운전수행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에 대한 체계적 고찰
- 한국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안내지침
- WFOT 교육인증 및 한국형 작업치료교육품질인증 평가에 대한 작업치료(학)과 교수 인식도
- 포괄간호서비스 도입에 따른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역할 : 미국, 영국, 호주 사례분석
-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욕창예방방석의 중재와 효과 측정 방법 : 체계적 고찰
-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