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욕창예방방석의 중재와 효과 측정 방법 : 체계적 고찰
이용수 3
-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a Wheelchair : A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정현 김종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4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욕창예방방석 중재와 방석의 종류 및 효과 측정 방법에 대한 논문 고찰을 통해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 RISS, KISS, Scopus, PubMed와 Google scholar를 사용하여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검색 용어로 Pressure Ulcer AND Wheelchair AND Cushion을 사용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3차 분류를 거쳐 최종적으로 13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분석 고찰 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는 연구 참여자와 중재로 사용된 욕창예방방석의 종류, 중재가 적용된 환경 그리고 효과 검증을 위해 사용된 측정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정리 하였다. 논문의 질적 수준은 단일 그룹 실험 논문이 8편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 참여자는 비장애인 대상에서 척수손상장애인 대상으로 변화되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가 수행된 환경도 실험실 기반에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연구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욕창예방방석의 종류는 공기방석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맞춤형 방석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었다. 욕창예방방석의 효과에 대한 측정 방법은 좌면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전체적으로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방석 사용자의 사용성과 주관적 만족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증가하고 있다.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하여 욕창예방방석 중재와 방석의 종류 및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작업치료사의 욕창예방방석 서비스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욕창예방방석에 대한 개발과 연구, 임상적 서비스 근거 마련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of research on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s used for people with a disability using a wheelchair, as well as the trends in the types, effects, and measurement methods regarding such cushions. Methods: Electronic databases such as RISS, KISS, Scopus, PubMed, and Google Scholar from 2010 to 2015 were used to research various theses. “Pressure Ulcer AND Wheelchair AND Cushion” were used as the main search terminology. The theses researched we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and the final 13 theses were used for analysis purposes Results: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dissertations most commonly involved one-group experimental studies, which numbered eight in total,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changed from non-disabled subjects to disabled subjects with spinal cord injuries. The studies on air cushions were most commonly focused on the type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 used, although newer studies on customized cushion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effect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s most commonly involved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seat contact area, although recent methods measuring the usability of the user and their subjective satisfaction are on the increase.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quired into the research flow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s, and revealed the types of cushions being researched and the methods for verifying their effects.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tud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s, and for establishing grounds for clinical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클라이언트중심 가정방문 작업치료가 치매특별등급 대상자의 활동참여에 미치는 효과 : 사례연구
- 국내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 실태 조사
-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와 상담욕구 조사
- 노인 운전자의 운전수행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에 대한 체계적 고찰
- 한국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안내지침
- WFOT 교육인증 및 한국형 작업치료교육품질인증 평가에 대한 작업치료(학)과 교수 인식도
- 포괄간호서비스 도입에 따른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역할 : 미국, 영국, 호주 사례분석
-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욕창예방방석의 중재와 효과 측정 방법 : 체계적 고찰
-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