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운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Driving Experience of Elderly Korean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명옥 정봉근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1권 제4호, 123~1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이 경험한 운전의 패턴과 의미를 현상학적 접근을 통하 여 파악하고 그 의미 구조를 밝힘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연구방법 : 노인 운전자의 자가 운전 경험과 운전이 주는 삶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인 접근법을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포함한 심층 면담으로 수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이 경험한 운전은 ‘운전 수행의 변화’, ‘운전의 의미’와 ‘미래의 운전계획’의 3가지 주 제범위로 요약되었다. 노인들의 운전 수행의 변화는 젊은 시절에 비해 운전이 어렵게 느껴졌고, 주로 노화로 인 한 신체적 변화 및 심리적 부담감으로 젊은 시절보다 운전이 어렵다고 답하였다. 또한, 젊은 시절 보다 운전에 신중해진 모습을 보였고, 좀 더 안전한 시간대에 운전을 하고 동승자 없이 혼자서 운전은 지양하며 날씨가 나쁜 날에는 운전을 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운전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노인들은 젊은 시절의 운전에 대한 긍정적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 시절을 동경하는 모습을 보였다. 노년의 시기에 운전을 할 수 있어서 이동이 쉽고, 사회적 모임에 참석할 수 있음에 만족함을 보였다. 또한 여행 등을 통해 자신의 삶을 질적으로 누리는 계기가 된다고 하였다. 참여자의 일부는 남은 여생에서도 신체적 건강이 허락하고 경제적 기반이 되는 한 운전을 계속 하고 싶다고 하였고, 일부는 심리적 부담감으로 운전을 줄이겠다고 하였다. 결론 : 노인 운전자를 위한 운전재활 중재 시 노화로 인해 변화되는 개인의 신체기능에 대 한 이해뿐만 아니라 노인 운전자가 운전을 그만 두지 않고 지속 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경제적 기능 및 제도적 장치의 기반 또한 중 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behaviors of elderly Korean drivers andidentify the structure of driving experience through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Methods : Four active older drivers were recruited. A phenomen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to collectinformation regar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driving experience among the elderly Korean subjects. Thedata col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interview and survey. Results : The driving experiences among the elderly participant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themes: 1)a change in driving pattern, 2) the meaning of driving, and 3) future driving plans. The elderly driversexperienced a decrease in their driving abilities and recent difficulties in their driving. They indicated thattheir physical condition has worsened from aging and they feel a psychological burden. These changes haveaffected their driving pattern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raveling with their own vehicle positively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y want to continue driving as long as their physical condition allows it. However, some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will reduce their driving owing to a feeling of fear. Conclusion : A comprehension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of elderly drivers are necessary toprovide an effective driving rehabilitation serv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특수학급 아동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 아동 작업치료에 있어서 지시따르기 훈련을 통한 작업참여도 향상 효과
-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 개발
-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연구
-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력 및 자아존중감과 재활동기와의 관계
-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아동의 구강감각치료의 효과
-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실행능력에 대한 기초 연구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운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 직업재활분야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