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 개발
이용수 2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Swallowing Function Test of Stroke Victims Using a Rasch Analysi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홍덕기 이재신 김수경 전병진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1권 제4호, 7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를 개발하는 것이 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에 24개 항목으로 구성된 예비 연하기능 검사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대상자 및 항목의 적합도와 항목 난이도, 분리신뢰도, 평정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항목의 영역을 분류하였다. 결과 : 153명의 대상자 중 11명이 부적합한 대상자로 판정되었으며, 23개 항목 중 6개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 았다. 부적합한 항목은 1)폐렴과거력, 2)구강감각, 3)구역반사, 4)비강/구강 역류, 5)삼킴지연, 6)삼킴 후 천명이 었다. 항목의 난이도에서 가장 어려운 항목은‘후두거상’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쉬운 항목은‘각성도’로 분석되었 다. 연하기능 검사의 평정척도(0~4점)는 적합한 척도 범주로 분석되었으며, 항목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0.98, 대상자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0.95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4개 영역에 17개 항목으로 구성 된 연하기능 검사를 개발하였다. 결론 :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하기능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연하 기능 검사의 각 항목들은 임상적으로 환자의 기능과 회복 수준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항목들의 난이 도 수준을 고려하여 중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wallowing Function Test (SFT) for stroke patients byapplying a Rasch analysis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Methods : The subjects were 153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in 5 categories based on 23 items of apreliminary SFT.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a Rasch analys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ersons anditems fit, the distribution of item difficulty, separation reliabil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ating scale. Finally, the items were categorized using a factor analysis. Results : Eleven out of 153 subjects were found to not fit. Six out of 23 items were also found to be misfit. Themisfitted items included‘ history of pneumonia’,‘ oral sensation’,‘ gag reflex’,‘ nasal/oral regurgitation’, ‘swallowing delayed’and ‘stridor after swallowing’. Of the appropriate items, the most difficult was‘laryngeal elevation’, and the easiest was‘ alertness’. The SFT rating scale was shown to be appropriate for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e item separation reliability was .95, and the person separation reliabilitywas .98. Finally, four categories for 17 items were completed for the SFT through a factor analysis. Conclusion : The SFT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was proven to be reliable and valid. It is expected thatSFT may help identify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and the recovery level may present interventionguidelines, considering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ite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특수학급 아동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 아동 작업치료에 있어서 지시따르기 훈련을 통한 작업참여도 향상 효과
-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 개발
-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연구
-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력 및 자아존중감과 재활동기와의 관계
-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아동의 구강감각치료의 효과
-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실행능력에 대한 기초 연구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운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 직업재활분야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