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아동의 구강감각치료의 효과
이용수 7
- 영문명
- Effect of Oral Sensory Treatment on Oral Function in Dyspha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송우진 박지혁 정민예 유은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1권 제4호, 47~5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구강기능에 대한 구강감각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OO대학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뇌성마비 아동 중에서 구강기능척도의 총점이 40점 이하인 18명의 아동이었다. 한 집단의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구강감각치료 전, 후의 구강기능척도의 변화를 비 교하였다. 구강감각치료 방법은 손가락으로 눌러주기, 얼음막대로 자극하기, 전동칫솔로 자극하기이며, 자극 횟수는 치료 매뉴얼에 따라 각 부위 별로 10회씩 시행하였다. 구강감각치료는 1회 당 30분씩, 주 2회씩 하여 8 주 동안 총 16회 실시하였다. 결과 : 구강감각치료는 뇌성마비 아동의 전반적인 구강기능을 향상시켰다. 특히, 구강준비단계에서 필요한 턱 과 입술과 혀의 움직임을 향상시켰고, 구강감각치료 후에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뇌성마비아동에게 구강감각치료를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 구에서는 뇌성마비의 마비 유형과 장애 유형을 고려해서 각 유형 간의 구강기능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 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sensory treatment on the oral functionin dyspha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 Eighte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ospitalized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at a universityhospital were chosen. They were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and received a total score of below 40points in an evaluation of the oral function while feeding. The study was a one-group pre-posttest designand showed a difference in oral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oral sensory treatment. The oral sensorytreatment included pressing with the fingers, and stimulating the cheek, chin, lips, tongue, and soft palate withan ice stick and electric toothbrush. The oral sensory treatment was conducted thirty minutes per day, twodays a week, for 8 weeks. Result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sensory treatment had an effect in the improvement of the childrensoral function. In particular, ‘chin closing’, ‘closing the lips over a spoon’, and ‘tongue control’ showedsignificant improvement. In addition, after oral sensory treatment, the subjects showed an improvement intheir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swallowing scale (ASHA NOMS). Conclusion : Further studies into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erebral palsy and oral functionshould be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특수학급 아동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 아동 작업치료에 있어서 지시따르기 훈련을 통한 작업참여도 향상 효과
-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 개발
-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연구
-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력 및 자아존중감과 재활동기와의 관계
-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아동의 구강감각치료의 효과
-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실행능력에 대한 기초 연구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운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 직업재활분야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