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특수학급 아동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
이용수 9
- 영문명
- A Correlation Between the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in Special Clas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Ability of Functional Performance in School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우희순 장기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1권 제4호, 13~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초등 특수학급 아동과 특수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장애아동의 적응행동을 검사하는 적응행동검사(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와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를 적용하여 장애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고 두 평가도구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 장애유형은 지적장애, 뇌병변 장애, 발달장애였으며, 아동을 6개월 이상 지도한 선생님을 통하 여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67부로 이를 가지고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 전체 장애아동에 대한 K-ABS와 SFA의 Pearson 상관관계는 .9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장애유형 에 따른 K-ABS 총점과 SFA 총점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K-ABS와 SFA의 상관관계가 입증되었으며, 이후에는 보다 구체적인 장애분류를 통해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disabilities of students in a specialelementary school class and a special-education school by applying a 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to examine their adaptive behaviors, and an 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 to examine theirfunctional performance in school, and to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ABS and SFA. Methods : The teachers who had instructed the children for over 6 months filled in a questionnaire. In addition,the types of disabilities of the children were mental retardation, brain lesions, and developmental disorders. A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67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Results : A high level of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K-ABS and SFA in all disabilities of the children (Pearson, r=.93).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K-ABS and SFA scores inall types of disability.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K-ABS and SFA. A follow- upstudy is needed to increase the validity through a more concrete disability class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특수학급 아동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 아동 작업치료에 있어서 지시따르기 훈련을 통한 작업참여도 향상 효과
-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 개발
-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연구
-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력 및 자아존중감과 재활동기와의 관계
-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아동의 구강감각치료의 효과
-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실행능력에 대한 기초 연구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운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 직업재활분야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