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Effects of Mental Imagery Training Combined With Electromyogram-Triggered Electrical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지수 최종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1권 제4호, 91~1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마비 측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K의료원에 외래 치료 중인 4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 작위 대조 실험을 하였다. 두 집단은 전통적 재활치료와 함께 실험군은 상상 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 합된 치료를, 대조군은 일반적인 전기자극치료를 회당 30분간, 주 5회, 6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Fugl-Meyer Assessment (FMA)와 Manual Function Test (MFT)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 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6주간의 중재 후 실험군의 FMA, MFT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1). 2) 실 험군의 MBI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개인위생과 옷 입기 항목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반면 대조군의 경우 약간의 점수 향상은 있었지만 모든 평가에서 통계학적 유의 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에 비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손의 움직임과 관련된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ental imagery training combined withelectromyography-triggered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paretic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chronic strokepatients. Methods : Randomized and controlled trials were conducted on 44 chronic stroke outpatients at the K clinicbetween August 2012 and February 2013.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was given mental imagery training combined with electromyography-triggered electrical stimulation, and acontrol group was given commo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he trials lasted for six weeks, consistingof 30-min treatment sessions conducted five days/week. As assessment tools, a Fugl-Meyer Assessment(FMA) and Manual Function Test (MFT) were used to assess the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 ModifiedBarthel Index (MBI) was used for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 1) After the six-week intervention, the FMA and MF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atatistical significant change (p<.05). 2) The MBI pre-post scor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except for personal hygiene and clothing items (p<.05). On theother h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light improvement in scores after intervention, but the difference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item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reatment with mental imagery training combined with electromyography- triggeredelectrical stimul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demonstrated that this combined therapy is more effectivetha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an improvement of the paretic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trokepatients, and that it was also effective in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hand manipulation- associatedactivities of daily liv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특수학급 아동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 아동 작업치료에 있어서 지시따르기 훈련을 통한 작업참여도 향상 효과
-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 개발
-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연구
-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력 및 자아존중감과 재활동기와의 관계
-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아동의 구강감각치료의 효과
-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실행능력에 대한 기초 연구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운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 직업재활분야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