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식물의 점도와 양에 따른 삼킴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이용수 6
- 영문명
- Comparison of sEMG Activation on Swallowing-Related Muscles According to the Bolus Viscosity and Volume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미진 우희순 장기연 한미애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0권 제4호, 69~8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삼킴 시 음식물의 점도 및 양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단계적으로 점도와 양을 증가시킬 때 나타나는 삼킴근육의 근활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D광역시 ○○대학교에 재학중인 건강한 성인 40명(남 20명, 여 20명)을 대상으로 surfaceElectromyographic(sEMG)를 사용하여 음식물의 점도와 양에 따른 삼킴 시의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활성크기를 측정하고, 음식물의 점도와 양의 변화 시 삼킴에 따른 노력의 정도를 객관화된 수치로 나타내고자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사용하였다. 결과 : 음식물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목뿔위근육의 근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음식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근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구강 내 조절 및 인두기 삼킴 반사가 저하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하의 식이를 결정할 때 점도의 정도와 양을 고려한 식이 추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식물의 삼킴 시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에 요구되는 근활성도를 추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vestigating the consistency and volume of food in healthy adults, and measuring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ies when gradually increasing the consistency and volume. Methods : Forty healthy adults (20 male, 20 female) attending ○○ University in D metropoli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MG was used to measure the amplitude of suprahyoid and infrahyoid muscle activity from an oral phase to a pharyngeal phase according to the consistency and volume of food. VAS was used to show the objective numerical value of the swallowing effort changes according to the food consistency and volume.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n increase in suprahyoid muscle activity when increasing the food consistency, and an increase in suprahyoid and infrahyoid muscle activities when increasing the food volume. Conclusion :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termining the food consistency and volume in a dysphagia diet for patients who have a decreased oral motor control and pharyngeal swallowing reflex.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guess (assume) the degree of suprahyoid and infrahyoid muscle activities during the swallowing of food.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노즐렌 치료가 치매노인의 이상심리행동과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통증파국화와 재활동기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성과 평가를 위한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의 유용성 연구
- 한국 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를 중심으로
- 중추신경계 장애에서 작업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고찰: 경험-의존 가소성의 신경생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 ICF 기반 SPG 케이스 관리 틀 적용연구: 단일 척수손상환자를 중심으로
- 음식물의 점도와 양에 따른 삼킴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시간차회상과 오류배제학습 병행 훈련에 따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변화
- 지역사회 노인들의 활동 및 참여수준과 신체기능과의 관계: ICF를 기반으로
- 입원 척수손상환자 돌봄자의 장애수용정도 및 부담감과 대처행동 간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