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간차회상과 오류배제학습 병행 훈련에 따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변화
이용수 16
- 영문명
- The Change in Spaced Retrieval Training (SRT) Combined With Errorless Lear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Dementia Sufferer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장종식 이재신 김수경 전병진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0권 제4호, 43~5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혈관성 치매환자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에게 시간차 회상훈련과 오류배제학습에 대한 훈련을 적용했을 때 인지기능과 우울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대전·충남에 2개의 요양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 후 6개월이 경과한혈관성 치매환자 31명을 대상으로 1주일에 5회기씩 총 4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인지기능을 비교하기위해 신경심리평가(The Korean Version of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of Alzheimer's Disease; CERAD-K)를 시행하였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검사(Geriatric Depression Scale-K; GDS-K)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두 집단 모두 중재 후 구성회상과 길 만들기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특히 경도치매, 혈관성 치매환자에게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우울은 중재 후 경도치매와 혈관성 치매에게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결론 : 혈관성치매환자와 경도치매환자에게 인지기능의 증진이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치매환자에게 인지치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SRT) and errorless learning training (ELT) on the cognitive change and depression level in dementia sufferers. Methods : SRT and ELT were applied to thirty-one dementia patients between September 2009 through November 2010. The SRT and ELT were applied to inpatients of Daejeon and K-city hospital in Chungnam five times a week for a four-week period. To assess th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we performed the Korean version of the CERAD neuropsychological battery, and assessed the depression symptom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K). Results :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its cognition improved after SRT and ELT were applied. After the interventions, patients with vascular and mild dementia showed greater declines in depression scores than those with Alzheimer's and moderate dementia. Conclusion : After the interventions, patients with vascular and mild dementia showed greater declines in depression scores than those with Alzheimer's and moderate dementia.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노즐렌 치료가 치매노인의 이상심리행동과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통증파국화와 재활동기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성과 평가를 위한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의 유용성 연구
- 한국 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를 중심으로
- 중추신경계 장애에서 작업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고찰: 경험-의존 가소성의 신경생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 ICF 기반 SPG 케이스 관리 틀 적용연구: 단일 척수손상환자를 중심으로
- 음식물의 점도와 양에 따른 삼킴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시간차회상과 오류배제학습 병행 훈련에 따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변화
- 지역사회 노인들의 활동 및 참여수준과 신체기능과의 관계: ICF를 기반으로
- 입원 척수손상환자 돌봄자의 장애수용정도 및 부담감과 대처행동 간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