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Novice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홍은경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0권 제4호, 29~4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임상에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어려움에 대한 적응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0~11개월의 임상경험이 있는 5명의 아동작업치료사들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주로 이용하였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내용의 수집 및 대상자의 면담 내용 확인은 이메일을 이용하였다. 면담내용은 녹음하였고, 녹음된 내용을 여러 번 듣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겪는 임상 경험에 관하여 14개의 중심의미와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는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을 경험하였다.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의 중심의미에는 아동작업치료의 선택, 기대, 역할이 포함되었고, 능력 부족의중심의미에는 치료에 대한 불확실성 및 자신감 부족이 있었다.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의 중심의미에는 조직체계에 대한 만족과 불만, 대인관계의 어려움, 그리고 직무에 대한 만족과 불만이 포함되었다. 교육에 대한 열망의 중심의미에는 학교 교육, 교육에 대한 지각, 교육방법이 포함되었으며 적응 전략의 중심의미에는 개인생활, 치료와 조직의 적응 전략이 있었다. 결론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은 임상에서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의 경험을 겪었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이 아동작업치료사로써의 역할에 부응하고, 소속기관에 적응하며 이탈되지 않도록 기관장이나 선임 치료사들이 협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과정의 개편 및 기관의 제도적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inical experience for novice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o comprehend its adaptive strategies. Methods : A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qualitative research was adopt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5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had 10 to 11 months of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and e-mail. The interviews were recoded, transcribed, and analyzed thematically. Results : Five themes emerged form the interview data. The themes were as follows: 1) Expectations regarding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selection and expectations regarding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2) A shortage of competence: uncertainty and a lack of confidence regarding intervention. 3) Emotions toward the organization: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regarding the organization, relational skills with therapists, and job dissatisfaction. 4) Fervent desire about education: recognition regarding education and method of education. 5) Adaptive strategy: adaptive strategy for professional and personal lives. Conclusion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rehend the experience process of novice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The results will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curriculum, and clinical support to help in the adaptation of novice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노즐렌 치료가 치매노인의 이상심리행동과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통증파국화와 재활동기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성과 평가를 위한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의 유용성 연구
- 한국 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를 중심으로
- 중추신경계 장애에서 작업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고찰: 경험-의존 가소성의 신경생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 ICF 기반 SPG 케이스 관리 틀 적용연구: 단일 척수손상환자를 중심으로
- 음식물의 점도와 양에 따른 삼킴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시간차회상과 오류배제학습 병행 훈련에 따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변화
- 지역사회 노인들의 활동 및 참여수준과 신체기능과의 관계: ICF를 기반으로
- 입원 척수손상환자 돌봄자의 장애수용정도 및 부담감과 대처행동 간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