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작업영역에 대한 시간사용
이용수 12
- 영문명
- Time Use of Areas of Occupation According to the Periods of Life in Korean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홍승표 이지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8권 제1호, 95~10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이 연구는‘2004 생활시간조사’에서의 행동분류를 작업영역에 따라 분류한 후, 한국인의 생애주기별로 작 업영역에 따른 시간사용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4 생활시간조사’의 원자료 중 12세 이상인 대상자 총 30,437명의 시간 사용량을 사용하였다. 생 애주기는 청소년초기, 청소년후기, 성인초기, 성인기, 노인기로 구분하였고, OTPF에 의한 작업영역으로 원자료의 행동을 재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모든 일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은 성인기에, 교육은 청소년초기에 시간사용량이 높았고, 휴식 및 수면 시간 사용량은 노인기에 가장 높았다. 여가는 노년기의 시간사용량이 증가되었는데 야외활동 보다 실내 활동이 더 증가 되는 양상을 보였다. 성인기의 남자에게서는 일에서, 여자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서 시간사용량이 높았다. 결론 :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성별, 생애주기별 작업영역에서의 시간사용량에 차이가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작업치료에서 작업균형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 시 비교자료로 활용이 가능하고, 생애주기와 남녀 차이에 따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group behavior on the data of‘ 2004 Time Use Survey', and to compare time use of areas of occupation according to the periods of life in Koreans. Method : A researcher analyzed time use data of men and women(n=30,437) aged 12 years and over collected as part of the ‘2004 Time Use Survey'. The periods of life were divided into 5 periods(early adolescent, post-adolescent, early adult, adult, and elderly), and behaviors were classified by areas of occupation in OTPF. Result : Adult spend more time on work and IADL, and the most time on education and rest and sleep appeared in early adolescent and elderly each other. The time use on leisure in elderly was high indoor activities then outdoor. Men spent more time on work, but women on IADL.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gender and periods of life difference in the time use on all.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include the analysis time use pattern according to periods of life and gender during occupational therapy for individuals need to intervention of occupational bal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따른 전공취업에 대한 인식 변화
- 국내·외 음식 재질과 연령에 따른 정상 영유아의 저작 능력에 대한 연구
- 뇌졸중 환자의 단순화된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와 버그 균형 척도의 비교 연구
- 후각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작업영역에 대한 시간사용
- 재택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관리와 보호자 부담감소를 위한 맞춤형활동프로그램의 효과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노인의 균형훈련 효과
- 삼킴장애 환자의 튜브영양법: 구강식도관의 유용성
- 성인의 감각 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 연구
-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 평가의 부모-치료사 간 일치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