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의 감각 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Styles and Personalit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최종덕 김진경 이택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8권 제1호, 22~3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성인의 감각 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Korea Aptitude Development(KAD) 인성검사는 학과에서 학생의 인성과 직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사회적성개발원에 단체로 의뢰하여 2008년 4월 30일에 실시되었다. KAD 인성검사를 실시한 대상자 중 연 구에 동의한 50명을 대상으로 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AASP)을 실시하였다. AASP는 대상자에게 질문지를 나눠주고 문항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설문이 완성되면 바로 수거하였다. 설문은 총 15분 소요되었다. 분 석에는 AASP와 KAD 인성검사를 모두 실시한 50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성인의 AASP 유 형을 알아보았고, 성별에 따른 AASP 유형은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AASP 유형과 KAD 인성검 사와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AASP 유형과 KAD 인성검사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감각 등록 저하는 감정(r=-.32)과 정서(r=- .34)와 상관성이 있었고(p<.05), 감각 찾기와 감각 민감성은 지도력과 각각 r 값이 .31, -.34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p<.05).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인성발달에 감각 처리 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 로는 감각 처리 능력에 문제를 가진 성인이나 장애 부모를 대상으로 감각 통합 치료 적용에 따른 대처 기술,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ASP and KAD were examined. Methods : AASP and KAD were executed for 50 healthy adults between the ages of 21 and 26. KAD was conducted by requesting its execution from a professional company. KAD was carried out in April of 2008. AASPs were distributed directly to the participants and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adult sensory processing, and a comparison of sensory processing styles of males and females was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Relativity between the AASP and KAD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ASP and KAD, low sensory regis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ntiment and emotion (p<.05). With leadership, sensory seek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and sensory sensitiv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p<.05). Conclusion : Passive behavioral responses associated with a high neurological threshold can be a factor disturbing the development of personal sentiment and emotion, and a low threshold can cause shyness and introverted tendencies. Also, active behavioral responses associated with a high neurological threshold can improve self-confidence and leadership. It can be confirmed that sensory processing can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personality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따른 전공취업에 대한 인식 변화
- 국내·외 음식 재질과 연령에 따른 정상 영유아의 저작 능력에 대한 연구
- 뇌졸중 환자의 단순화된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와 버그 균형 척도의 비교 연구
- 후각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작업영역에 대한 시간사용
- 재택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관리와 보호자 부담감소를 위한 맞춤형활동프로그램의 효과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노인의 균형훈련 효과
- 삼킴장애 환자의 튜브영양법: 구강식도관의 유용성
- 성인의 감각 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 연구
-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 평가의 부모-치료사 간 일치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