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 평가의 부모-치료사 간 일치도
이용수 5
- 영문명
- Agreement between Parents and Therapists of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장곤 김형렬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8권 제1호, 13~2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사용 하여 아동의 사물조작능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측정자가 치료사인 경우와 아동의 부모인 경우에 둘 사이에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16개 장애인 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받고 있는 136명의 뇌성마비 아동 이다. 아동의 부모와 치료사들은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MACS)를 이용하여 아동들의 사물 조작 능력을 평가하였 다. 측정에 대한 측정자간 일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급내 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 참여한 136명의 아동(남 73명, 여 63명)들의 평균나이는 7세 6개월이었으며 나이 범위는 4세 0 개월부터 13세 6개월이었다. 아동의 부모가 측정한 MACS값과 치료사가 측정한 MACS의 값은 좋은 일치도를 보 였다(ICC=.84, 95% 신뢰구간 .77-.88). 결론 : MACS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장애아동을 비롯한 부모들에 의해 평가가 이루 어진다고 하더라도 전문가에 의한 평가와 적절한 일치도를 보임으로써 일반인에 의해 보다 자주 손쉬운 평가가 가 능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greement between parents and therapists in assessed manual ability using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 The subjects were 136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are undergoing rehabilitation programs in 16 welfare centers. Their parents and therapists assessed the manual abilities of the children using MACS. Agreement between the parents and therapists was determined using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136 children (73 male, 63 female) was 7 years, 6 months (range of 4 years, 0 months - 13 years, 6 months). The overall agreement between parents-assessed and therapists-assessed MACS was good (ICC = .84, 95% confidence interval, .77-.88). Conclusion : MACS is designed to classify how children with CP use their hands when handling objects in daily activities. MACS offers a reliable method for population-based research, and for communicating the manual ability of children with C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따른 전공취업에 대한 인식 변화
- 국내·외 음식 재질과 연령에 따른 정상 영유아의 저작 능력에 대한 연구
- 뇌졸중 환자의 단순화된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와 버그 균형 척도의 비교 연구
- 후각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작업영역에 대한 시간사용
- 재택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관리와 보호자 부담감소를 위한 맞춤형활동프로그램의 효과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노인의 균형훈련 효과
- 삼킴장애 환자의 튜브영양법: 구강식도관의 유용성
- 성인의 감각 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 연구
-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 평가의 부모-치료사 간 일치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