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후각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
- 영문명
- The Effect of Olfactory Stimulation on the Swallowing Function Recovery of Stroke Patient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무경 채수영 황기철 권혁철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8권 제1호, 43~5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흑후추 기름(Black Pepper Oil: BPO)을 이용한 후각 자극이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뇌졸중 후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BPO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 중재를 적용하 는 실험군과 증류수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 중재를 적용하는 대조군으로 각각 10명씩 나누었다. 6주에 걸친 치료 중재 전·후의 연하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기능적 연하장애 척도를 이용하였다. 결과 : BPO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 후 유의한 연하기능의 향상을 보였고(p<.05), 항목별 변화는 삼킴반 사 지연, 후두상승과 후두덮개 폐쇄, 후두계곡의 잔여물, 인두 통과 시간 항목에서 유의한 연하기능의 향상을 보였 다(p<.05). 결론 : BPO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가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기능을 호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PO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는 연하장애 치료의 새로운 방법으로 사용이 간단하 고 비용이 저렴하여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lfactory stimulation using Black Pepper Oil (BPO) on the swallowing function recovery of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suffering a stroke. Methods : Twenty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suffering a stroke were examined, and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of 10 people given swallowing therapy intervention using BPO olfactory stimulation, and an experimental group of 10 people given swallowing therapy intervention using olfactory stimulation with distilled water. A Functional Dysphagia Scale was used to compare the subjects’swallowing function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tervention over a 6-week perio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 After the swallowing therapy using BPO olfactory stimulation, the subjects’swallowing functio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5). An itemized change of swallowing function from the swallowing therapy intervention using BPO olfactory stimul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iggering of pharyngeal swallowing, laryngeal elevation and epiglottic closure, valleculae residue, and pharyngeal transit time (p<.05). Conclusion : Swallowing therapy using BPO olfactory stimulation improved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erefore, swallowing therapy using BPO olfactory stimulation can be considered for useful application in clinical work therapy as a new method of swallowing therapy, particularly since its cost is inexpensive and the method is simp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따른 전공취업에 대한 인식 변화
- 국내·외 음식 재질과 연령에 따른 정상 영유아의 저작 능력에 대한 연구
- 뇌졸중 환자의 단순화된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와 버그 균형 척도의 비교 연구
- 후각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작업영역에 대한 시간사용
- 재택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관리와 보호자 부담감소를 위한 맞춤형활동프로그램의 효과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노인의 균형훈련 효과
- 삼킴장애 환자의 튜브영양법: 구강식도관의 유용성
- 성인의 감각 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 연구
-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 평가의 부모-치료사 간 일치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