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혼가정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 2017년~2021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이용수 34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for Divorced Family - Focused on domestic research from 2017 to 2021 -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유난영 김서현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4권 제1호, 14~28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이혼가정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와 학위 논문 총 22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 틀에 근거하여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 중재 환경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017년에 미술치료 연구가 40.9%로 2016년까지의 연구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아동이 81%, 주 양육자는 부(父), 이혼 후 기간은 5년 이상 6년 이하인 31.8%로 높았다. 셋째, 연구 주제는 심리 및 정서 관련 연구가 37.1%로 많았다. 넷째,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가 95.5%, 측정 도구는 정서 및 행동을 평가하는 척도 검사가 33.3%, 투사검사는 집·나무·사람(HTP)이 10.4%의 비율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중재 환경은 치료 기간이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주 1회, 진행 시간은 40분 이상 60분 이하, 치료 회기는 16회기 이상 20회기 이하, 치료 형태는 개인 치료가 59.1%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루어질 이혼가정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rt therapy for divorced famil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7 to 2021. A total of 22 domest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discussions were addressed following by year, subject, topic, method,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which were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 of the analys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s on art therapy in 2017 was 40.9%, which was higher than those in 2016. Second, the objects of the analysis were children (81%), the main nurturer was his or her father, and the period of divorce was high (31.8%) over 5 and below 6 years. Third, the subjects relating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search was 37.1%. Fourth, the case studies was 95.5% for research method, the scale tests which values emotion and behaviors was 33.3% for evaluation tool, and HTP(House-Tree-Person Test was 10.4% for projection test. Finally, as for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the treatment period was over 6 under 12months, once a week, the duration time over 40mins under 60mins, the sessions over 16 under 20 sessions, and the individual treatment was the highest (59.1%) for therapy method.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nticipate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f art therapy for divorced families.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국내 다문화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연구 동향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2015-2023)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라이프코칭에서의 그룹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반려견 양육자의 반려견 의미에 대한 귀납적 내용 분석: 에니어그램 3, 6, 9유형 중심으로
- 청소년의 명상코칭 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여자중학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