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라이프코칭에서의 그룹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44

영문명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Group Coaching in Life Coaching
발행기관
아시아상담코칭학회
저자명
김민지 김유천
간행물 정보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7권 제1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감성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라이프코칭에서 그룹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을 통해 라이프코칭, 나아가 코칭 전체의 산업과 연구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방법에 따라 관련 연구가 국내에 처음 등장한 2008년부터 2024년 11월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논문 중 라이프코칭 연구 9건, 그룹코칭 23건 총 32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라이프코칭 및 그룹코칭 연구 현황과 라이프코칭에서 그룹코칭 적용 현황, 그룹코칭이 라이프코칭에서 가지는 강점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국내 라이프코칭 및 그룹코칭 연구는 아직까지 그 수는 제한적이었지만 그룹코칭 연구의 주제를 코칭 영역으로 구분하여 볼 때 라이프코칭이 가장 많았으며 모두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였고 효과는 실천 관련 변인, 정신건강 관련 변인, 관계 관련 변인으로 검증되고 있어 라이프코칭에서 그룹코칭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라이프코칭에서 그룹코칭 적용의 강점으로 건강한 사회적 관계를 지원하고,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강화하며, 개인의 실천력을 강화한다는 점을 정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라이프코칭에서 그룹코칭의 효과 변인과 연결되어 라이프코칭에서 그룹코칭 적용의 강점이 실질적인 증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라이프코칭에서 그룹코칭 적용을 더욱 유용하게 하기 위해서 수용적이고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하고, 개별 이슈를 심도있게 다루기 위한 보완이 필요하며, 코칭 프로세스 및 코치 역량을 강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코칭 영역과 형태를 넘어서는 관점에서의 분석으로서 라이프코칭과 그룹코칭의 초점을 하나로 연결하고자 하였으며 이론을 통합하여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향후 해외 문헌을 포함한 심도있는 고찰과 실증 연구로 이어진다면 라이프코칭 및 코칭 산업과 연구 전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advancing the life coaching sector and the broader coaching field by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group coaching in life coaching. A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32 domestic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8, when the first relevant study appeared, and November 2024, which included 9 on life coaching and 23 on group coaching. The research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studies on life and group coaching, the application of group coaching in life coaching, and the advantages of integrating group coaching into life coaching practi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domestic studies on life and group coaching are limited, group coaching has been most actively studied within life coaching compared to other coaching areas. All studies focused on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with outcomes validated through practice-, mental health-, and relationship-related variables,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aching in life coaching. The strengths of applying group coaching lie in fostering healthy social relationships, enhancing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nd promoting individual practice, which aligned with the demonstrated outcomes of group coaching in life coaching and provided compelling evidence for its practical appl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creating an open and receptive atmosphere, supplementing methods to address individual issues in greater depth, and enhancing coaching processes and coach competencies to maximize the benefits. This study bridges the focus areas of life and group coaching, offering an integrated analysis that transcends traditional boundaries and formats in coaching. By synthesizing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presenting evidence, the research highlights the need for further exploration and empirical studies, particularly those incorporating international literature. Such efforts could contribute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life coaching industry and coaching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지,김유천. (2025).라이프코칭에서의 그룹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7 (1), 1-14

MLA

김민지,김유천. "라이프코칭에서의 그룹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7.1(2025):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