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치유산업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요구: 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 및 인식에 따른 차이 분석
이용수 16
- 영문명
- Perception and Operational Deman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Healing Industry: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Healing Programs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신수경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7권 제1호, 65~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치유산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치유산업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연구와 관련된 설문지에 응답한 결과를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치유산업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산업을 주로 미시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유산업 운영에 대한 요구로는 10개의 항목 중에서 누리과정과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 전문 치유지도사 확보,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과 예산확보, 치유공간 마련 등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치유산업 운영 요구의 차이는 치유산업에 대한 개념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맞춤형 치유산업 교육과정을 설계 및 교육 체계를 마련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치유산업 활용 가능성을 높힐 수 있는 치유산업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healing industry to examine its potential for effective adop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is end, 365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in G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ANOVA.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findings. First, whi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hibited a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the healing industry, they had limited experience with healing programs. Moreover, their understanding of the healing industry was mostly confined to a micro-level concept. Second, the primary demands for operating the healing industry included developing programs linked to the Nuri Curriculum, securing professional healing instructors, obtaining policy and budget support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establishing healing spaces. Third, the study identifi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mands for the healing industry’s operation based o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its concepts and necessity. The study results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signing and establishing tailored healing industry curricula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well as for explor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the healing industr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라이프코칭에서의 그룹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반려견 양육자의 반려견 의미에 대한 귀납적 내용 분석: 에니어그램 3, 6, 9유형 중심으로
- 청소년의 명상코칭 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여자중학생을 중심으로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오즈의 마법사 주요 캐릭터 분석: 허수아비, 양철 나무꾼, 겁쟁이 사자의 중심 에너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치유산업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요구: 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 및 인식에 따른 차이 분석
- 한부모 여성의 심리적 성장을 위한 에니어그램 중심 미술치료: 에니어그램 4번 유형의 단일 사례 연구
- 경영자 코칭(executive coaching)의 현재와 미래: 국내 연구 동향과 발전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국내 다문화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연구 동향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2015-2023)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